암각화 영구보존 아직도 멀고
암각화 영구보존 아직도 멀고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3.06.16 19: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와 문화재청이 16일 반구대 암각화 보존대책에 합의했다. 암각화 전면에 카이네틱 댐을 쌓는다는 내용이다. 카이네틱 댐은 투명한 재질로 이뤄진 소규모 댐으로 수위 변화에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고 이동과 해체가 용이하다. 지난 10년 동안 울산시와 문화재청은 연중 5~6개월 동안 물속에 잠기는 국보 285호 반구대 암각화를 보존하기 위해 각각 사연댐 수위 조절안과 수위조절 및 식수문제 동시 해결안을 주장해 왔다.

양측 모두 암각화를 일단 물에서 건져내고 보자는데 동의했다. 미진한 부분이 없진 않지만 일단 그것만으로도 앞으로 한걸음 나아간 셈이다. 2003년 암각화 보존대책이 처음 거론된 뒤 여태껏 말만 무성했지 이렇다 할 대안이 나오지 않았다. 지난 1일 다녀간 정홍원 총리까지 합치면 지금까지 국무총리만 3명이 반구대 암각화 현장을 둘러보고 갔다. 또 지역 국회의원들이 나서고 대통령까지 문제해결을 다짐했지만 수위조절안과 식수문제 동시해결 주장이 서로 얽혀 해결방안이 나오지 못했다. 그런 사실에 비춰볼 때 이번 합의는 일단 암각화 보존에 물꼬를 텄다.

하지만 이번 합의가 불완전한 미봉책임도 부인하기 어렵다. 대통령이 해결의지를 보이고 국무총리까지 나서 대안을 제시했기 때문에 울산시와 문화재청이 마지못해 동의한 흔적이 역력하다. 울산시가 바라는 것은 이런 임시방편이 아니라 영구적인 것이었다. 정부가 언제 어떻게 태도를 바꿀지 모르기 때문에 사연댐 수량(水量)을 줄이지 않는 생태제방 축조를 주장했다. 반면에 문화재청은 카이네틱이던 뭐든 간에 제방 자체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다. 일단 제방을 쌓게 되면 주위 환경훼손은 피할 수 없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지금까지의 합의 과정 못지않게 앞으로가 더 중요하다. 무엇보다 자신들의 주장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합의내용에 당사자들이 얼마나 따를 것이냐다. 합의문에 서명은 했지만 댐 건설과정에서 또 다른 충돌이 빚어질 수도 있다. 카이네틱 제방이 얼마나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국내에서 그런 임시제방이 건설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또 정부가 임시제방을 축조한 뒤 이런저런 핑계로 영구보존대책을 유야무야할 수도 있는 일이다. 따라서 이번 합의안에 만족해 머무를 게 아니라 지금부터 암각화 영구보존대책을 논의해 나가야 한다.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