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고충 살피며 산업 고도화 촉진, 상공계 발전 앞장
지역 고충 살피며 산업 고도화 촉진, 상공계 발전 앞장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2.10.23 20: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석호 前 9·10대 울산상공회의소 회장
▲ 이석호 前 9·10대 울산상공회의소 회장.

제 9대와 10대 울산상공회의소 회장직을 역임했던 이석호 전 회장은 고향 울산의 상전벽해 발전의 중심에 있었다. 울산 상공계 발전의 핵심적 자리에 있었고 향토기업을 일으켜 지역경제 발전을 이끌었다. 은퇴 후 서울에서 기거하고 있는 이 전회장은 여전히 울산의 안부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이 전 회장은 공업센터 지정 초창기 울산 상공계의 실정을 누구보다 훤히 알고 있다. 해방 후 일본인들이 철수하자 울산지역 상공업은 일시 후퇴했다.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더욱 어려워졌다. 그러다가 1954년 삼양사가 울산에 제당, 한천 공장을 건설하면서 울산은 전환점을 맞게 된다.

울산이 공업센터로 지정되기 전인 1960년 울산에서 5인 이상을 고용하는 공장은 철공업 2곳, 제재업 4곳, 건설업 2곳, 제조업 3곳, 직조업 2곳, 제과업 2곳, 조선업 1곳 등 모두 16곳에 불과했다. 고용인원은 모두 240명 정도였다.

1962년 공업센터로 지정되던 해에도 3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공장의 수는 42곳에 불과했고 종업원 수는 742명이었다. 그나마 비교적 규모가 큰 공장으로는 삼양사와 고래고기를 가공처리하는 장생포와 방어진의 대동포경, 대한 포경회사가 있었고 조선 수리와 기계를 제작하는 방어진 철공소 등이 있었다.

“울산 공업센터가 지정되고 같은 해 울산이 시로 승격되면서 울산의 산업발전은 본격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거듭했습니다. 오늘날 GRDP는 60조원으로 전국대비 5%에 이르며 취업자수는 55만명으로 전국의 2.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정도면 이제 울산은 한국을 넘어서 세계 제1의 산업도시로 위상을 갖췄다고 봅니다.”

이 전회장은 공업센터 지정 이후 울산 상공계가 겪은 변화상에 대해 상공회의소를 중심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울산 상공인들이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하는 공업화 정책을 전폭적으로 지지하면서 1963년 9월 2일 울산상공회의소를 창립했다. 상공회의소는 설립 초기 공업발전에 필요한 항만, 도로,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시설 확충과 공단건설에 따른 애로사항 해소에 전력했다.

이 전회장이 회장직을 수행한 6년간은 울산의 재도약을 위한 광역시 승격을 위해 상공계의 의지를 결집하는데 집중했다. 이 전회장은 이밖에도 울산항 콘테이너 정기운항과 여천지역 중소기업 입주단지 조성 등 많은 사업을 추진했고 시가지 철도 이설사업과 덕하~옥동간 남부순환도로 개설사업 등이 정부와 지자체 사업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건의하고 추진했다.

또한 미국 오레곤 한인상의 등 외국 상공회의소와의 교류를 활발히 했다.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 울산상공회의소는 울산산업의 성숙화와 고도화를 촉진시키는 일련의 사업들을 수행했다. 이 전회장은 “울산상공회의소가 오늘날 세계 굴지의 산업도시로 성장한 울산에 기여한 바는 이루 헤아릴 수 없으며 시대의 흐름에 변화하면서 설립당시 39명의 발기인으로 시작해 현재 1천900여 회원사의 권익을 대표하는 종합 경제단체로 성장했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이 전회장은 재임 당시 향토기업이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던 금융지원 사업에 초점을 맞춰 추진했다. 그때만 해도 기업이 은행으로부터 금융지원을 받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는 부산에 본점을 두고 있는 동남은행을 대주주로 울산의 여러 기업들이 참여하는 동남리스주식회사를 만들었다. 이 회사를 통해 울산의 중소기업들은 금융지원의 숨통을 트게 됐다.

또 각 기업체별로 배출되는 산업폐기물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 울산환경개발(주)를 82개 산업체가 출자해 설립했다. 현재 이 회사는 코엔텍으로 회사명을 바꿔 코스닥에 상장했다.

회원사들의 직원들이 연수할 수 있는 장소도 물색했다. 그 전까지는 양산과 경주로 연수 장소를 물색했지만 이 전회장은 배내골에 연수원을 만들어 회원업체의 경비와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이 전회장은 1983년 울산에 최초의 종합백화점인 주리원백화점을 개업했다. 1997년 삼산에 2호점을 개점하면서 당시 황무지였던 삼산 일대의 발전을 주도했다. 1997년 지역민방인 울산방송(주)를 허가 받아 개국하면서 지역의 문화발전에도 일조했다.

울산은 대기업 중심의 도시여서 중소기업 발전에 여러가지 애로점이 있는 산업구조를 갖고 있다. 대기업의 업황에 따라 중소기업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 전회장은 “국가 경제가 안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경제 하부구조의 근간을 이루는 수많은 중소기업이 그 뿌리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에 대한 보호육성도 중요하지만 기업에 대한 각종 규제완화를 통해 자생력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또 대기업과의 안정적인 협력과 동시에 전문기술을 가지고 독자적인 시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공정한 시장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전회장은 “중소기업이 장기적으로 중견기업,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스스로는 기술개발을 강화하고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부품산업 집중 육성방안을 수립하고 적극 지원해 주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국제적 산업도시로 발전하면서 향토기업들이 등장하고 사라지는 일이 반복됐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적극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전회장은 “지역경제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서는 우수한 향토기업을 발굴하고 적극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기업 유치 못지 않게 기존의 향토기업을 육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향토기업은 지역사회에 고용증대와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재투자하고 기술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전회장은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향토기업들은 각종 중소기업 지원 제도에서 졸업하게 돼 자금난을 겪는 등 어려운 경영국면에 돌입했다”며 “향토기업들이 몇년간 도산하거나 대기업에 인수합병되는 경우가 바로 그런 이유에서 비롯됐다”고 진단했다.

이 전회장은 이같은 현실을 타파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금융, 세제혜택을 위한 제도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 기업들은 향토기업들간의 과다경쟁을 피하고 상호 협력 공생하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울산의 미래에 대한 지역출신 원로 상공인의 견해는 탁월했다. 울산이 앞으로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산업의 고도화와 신성장동력 확보, 서비스 산업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밝혀 울산이 추진하고 있는 미래비전과 궤를 같이 하는 의견을 내놨다.

이 전회장은 “울산은 부가가치 측면에서 여전히 제조업 중심도시이지만 종사자수로는 이미 서비스 분야가 울산의 주력업종 종사자 수를 넘어선 만큼 서비스 산업의 부가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 전회장은 금융, 보험 등 생산자 서비스의 비중을 증가시키고 기존 제조업과 연계한 발전전략을 통해 상호간 시너지 효과를 유발시켜 나가는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iou@ujeil.com

▲ 1988년 6월 7일 오레곤 한인 상공회의소와 자매결연 체결.

▲ 울산환경개발(주)에서 회사이름이 바뀐 (주)코엔텍 공장 전경.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