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1호기 재가동하되 투명하게
고리1호기 재가동하되 투명하게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2.07.29 19: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이 지난 3월12일 정전사고로 가동이 중단된 고리1호기를 내달 3일 재가동할 것이라고 했다. 8월 하순에 예상되는 전력대란을 감안하면 늦어도 2~3일에는 가동을 시작해야 13일쯤부터 100%화력이 나온다는 것이다. 울산이 섭씨34.9℃로 전국 최고를 기록한 지난 22일 전국 전기수요는 7천260만kW이었고 전력 예비율은 6.0%(420만kW)를 나타냈다. 지난달 8일에는 예비율이 이보다 더 낮은 5%대(300만kW)까지 떨어진 적도 있다. 통상 10%(700만kW)는 돼야 안정권이다.

고리1호기 재가동에 앞서 원전지역 주민과 시민단체, 환경단체와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 적지 않은 입장 차이를 보였다. 주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점검결과 확인절차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3월12일부터 3개월 동안 원안위가 실시한 안전점검 결과를 문서로 확인하자는 입장이었다. 반면에 주민대표들은 원안위의 점검결과를 한수원 관계자가 참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독자적으로 확인하겠다고 했다. 이렇게 상반된 입장 때문에 정부가 그동안 재가동 발표를 미뤄오다 이번에 전격 발표한 것이다.

정부가 갑자기 재가동을 천명한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통상 예비율 안정권(700만kW)과 위험권(300만kW)사이의 전력차이는 400만kW다. 하지만 29일 계획예방정비를 마치고 재가동되는 월성1호기(68만kW), 내일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하는 신월성1호기(100만kW), 지난 20일 상업운전을 시작한 신고리2호기(100만kW) 등 원전 3기를 모두 합쳐도 발전량은 270만kW에 불과하다. 고리1호기 발전량(58만7천kW)까지 보태야 겨우 330만kW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전력대란을 막기 위해 고육지책을 감내해야만 하는 정부의 입장은 이해할 만하다. 하지만 고리1호기의 경우 지역주민뿐만 아니라 상당수 국민들도 그동안 재가동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그 동안의 경미한 인적·기계적 사고에서부터 3월 정전사고 이후의 은폐·조작 시도가 한국수력원자력과 정부를 불신케 한 측면도 없지 않다. 때문에 이제 남은 문제는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이 향후 어떤 모습을 보이느냐다. 현 시점에서 전력대란을 막으려면 고리1호기 재가동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그 운용에 있어선 철저히 투명해야 할 것이다. 자칫 예전처럼 사건·사고를 쉬쉬 덮어가거나 묵살하다 사실이 밝혀지면 고리1호기는 영원히 폐쇄될 수도 있다.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