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울산 인허가 주택 97% 가 ‘아파트’
작년 울산 인허가 주택 97% 가 ‘아파트’
  • 이정민
  • 승인 2024.02.19 2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세대·연립 등 비중은 0%대 밑돌아… 청년·서민층 내 집 마련 계획 붕괴 우려
지난해 ‘새로 주택을 짓겠다’며 인허가를 받은 울산지역 주택 97%가 아파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가구 중 9가구가 아파트인 셈으로 아파트로의 쏠림이 갈수록 더 심해졌다.

특히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하는 비아파트 공급이 갈수록 줄어든다는 것은 청년·서민층의 주거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19일 국토교통부 주택건설실적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지역 주택 인허가 물량 1만2천746가구 중 아파트는 1만2천372가구로 97%였다.

이어 단독주택(다가구 포함) 282호로 2.21%, 다세대주택은 22호로 0.17%, 연립주택 70호로 0.54%였다.

신규 주택 공급이 아파트에 쏠리는 현상은 어제 오늘 얘기가 아니지만, 지난해는 아파트 집중화가 특히 두드러졌다.

울산 주택 인허가 물량 중 아파트 비중은 2022년 95.4%에서 1.6%p 높아졌다. 이는 2011년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2013년 60.1% 였던 아파트 비중은 10년만에 약 100%에 달하는 수준이 됐다.

특히 아파트 비중은 2014년(79.9%)처음으로 70%대를 넘어섰으며 그다음 해인 2015년부터 2020년(89.6%)까지 80%대를 기록했다.

그러는 동안 빌라로 통칭되는 다세대·다가구·연립 등 단독주택은 점점 줄어들었다.

인허가 물량 중 다세대 비중은 2012년 11.2였으나, 2013년 10%, 2014년 2.29 등으로 계속 줄었다.

특히 2018년(0.45%)에는 비중이 0%대로 내려왔으며, 지난해에는 0.17%까지 낮아졌다.

연립 비중은 2~3%대를 유지했으나 2019년 0.87%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0%대를 밑돌고 있다.

비아파트 중심의 민간 임대주택 시장이 흔들리면서 그만큼 아파트 쏠림 현상이 심해졌다는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또한 빌라에서 월세, 전세를 살며 돈을 모아 아파트로 내 집 마련을 하는 주거 사다리의 첫 단계가 무너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한국부동산개발협회는 “민간 임대주택에 대한 지원이 대폭 축소되고, 다주택자에 대한 세금 규제가 강화되면서 임대용 소형주택이 직격탄을 맞았다”며 “이런 상황에서 고금리와 공사비 인상이 이어지며 비아파트 공급이 급격히 축소됐다”고 말했다.

또한 비아파트는 사업 기간이 1년가량으로 짧기에 시장 상황이 나빠지면 빠르게 사업을 접는 경우가 많고, 이는 곧바로 공급 물량 축소로 이어진다.

비아파트가 필요한 만큼 공급되지 않으면 아파트로 수요가 몰리고, 아파트 전셋값뿐 아니라 매매가격까지 밀어 올릴 수 있다.

실제 울산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11월 둘째 주부터 4개월째(한국부동산원 통계 기준)오르는 중이다.

이에 따른 피해를 보는 건 결국 더 많은 주거 비용을 부담해야 하고, 내 집 마련 기간이 길어지는 청년·서민층이다.

앞서 정부가 비아파트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오피스텔, 빌라 등 신축 소형주택을 구입하면 취득세·양도세·종합부동산세 산정 때 주택 수에서 제외하는 혜택을 내놓았지만, 시장은 아직 잠잠하다.

이정민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