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유휴부지 활용방안 찾아야
동구 유휴부지 활용방안 찾아야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23.12.05 2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행정구역 면적은 1천 62k㎡로 인구가 훨씬 많은 서울(605k㎡), 부산(771k㎡)보다 넓다. 지난 2015년까지 7대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넓은 도시였지만 2016년 인천(1천 67k㎡)에 그 자리를 내줬다. 인천은 인천국제공항, 인천신항, 항만시설 등 해안 매립을 통해 면적이 늘어났다.

하지만 울산은 넓은 면적에 비해 활용할 수 있는 부지는 턱없이 부족하다. 전체 면적의 25%가 개발제한구역인 데다 도농복합형 도시로 농어촌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개발제한구역은 도시 중심부를 가로질러 도심 공간을 단절하면서 균형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울산 내에서도 부지 활용도가 가장 낮은 곳은 동구다. 동구의 면적은 36㎢로 울산 총면적의 3.4%에 불과한데, 이는 5개 구·군 가운데 가장 좁은 규모다. 이 가운데 개발제한구역의 비율이 35%에 달하고, 해안가 금싸라기 땅들은 조선소 부지로 사용 중이다. 그 때문에 조선소가 들어와 급속도로 도시가 형성된 이후 몇십 년간 큰 변화 없이 도시 발전은 정체되고 있다.

최근 부족한 부지 문제 해결을 위해 울산시가 꺼낸 카드는 ‘개발제한구역 해제’였다. 동구 남목 일원이 미래차 부품단지 조성을 위해 해제 대상으로 거론되는 등 구·군마다 핵심 산업 추진을 위한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논의되고 있다.

이와 함께 동구는 유휴부지를 활용해 기존의 좁은 도심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 대표적인 곳이 대왕암공원 내 옛 울산교육연수원 부지다. 이곳은 1947년 이종산(1896~1949년) 선생이 사재로 설립한 방어진수산중학교를 기증한 곳이어서 역사적 가치를 지녔을 뿐 아니라 동해 일출을 한눈에 볼 수 있고 뒤로는 빼곡한 솔숲이 자리하고 있는, 우리나라 그 어디에서도 보기 힘든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고 있다.

동구청과 교육청이 10년 넘게 이전부지를 두고 갈등을 빚어온 탓에 활용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부족했다. 지난 2020년 울산교육연수원이 동구에서 북구 강동 신청사로 이전하기로 확정됐음에도 여전히 명확한 활용 방안은 나오지 않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활용을 위한 시도는 있었다. 울산연구원의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최적의 안(案)으로 관광호텔 건립이 추진됐으나 공원법상 관광호텔이 들어설 수 없고, 민간 투자자도 나서지 않으면서 흐지부지됐다. 울산시립미술관 개관에 맞춰 백남준 작가의 작품이 전시되면서 복합문화공간의 가능성도 타진됐지만 이마저도 일회성에 그쳤다.

주민들에게 외면받고 있는 대송공원도 마찬가지다. 이 공원은 대송동 새마을협의회와 부녀회 등 자생단체가 지난 1996년 마을의 빈 공간을 활용해 보자는 취지에서 땅을 평탄하게 만들고 꽃과 나무를 심어 조성한 곳이다. 지난 2010년에는 동구청이 소규모 주민사업의 일환으로 벤치와 조명, 족구장 2면 등을 조성하기도 했다.

하지만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주민들의 발길이 점차 줄어들어 사실상 공원의 기능을 상실했다. 2019년에는 대송공원을 활성화하기 위해 드론체험장을 조성해 운영하기도 했지만 공모 채택 무산, 예산 확보 실패 등의 이유로 2년 만에 폐쇄되기도 했다.

올해 초 폐원된 국공립어린이집인 일산어린이집에 대한 활용 방안도 찾아야 한다. 화진초등학교가 교실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내 직장어린이집을 이곳으로 옮기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무산됐다.

앞서 말했다시피 동구는 만성적인 부지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사업을 추진할 부지가 없어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사업도 많고, 마땅한 부지가 없어 정부와 울산시에서 추진하는 대규모 사업에서도 유력한 후보조차 되지 못한 채 매번 탈락하기 일쑤였다.

이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해서는 옛 울산교육연수원 부지를 비롯한 유휴부지 활용을 위해 관련 기관에 분명한 목소리를 내는 등 보다 적극적인 행정을 펼쳐야 한다. 이대로 방치하는 것은 동구로서는 너무나 큰 손해인 만큼 동구 발전을 위한 활용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길 기대한다.

박은심 울산 동구의회 의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