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환경공단’설립 제동… 공무원 절반이 반대
‘울산환경공단’설립 제동… 공무원 절반이 반대
  • 이상길
  • 승인 2021.08.18 22:08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市공무원노조, 관련 직렬 설문조사
공단 설립 36% 찬성·45% 반대
집행부 실시한 설문과 결과 엇갈려
노조, 시에 단체 교섭으로 협의 요구
울산환경공단(가칭) 설립에 제동이 걸렸다. 울산시 공무원 노조에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가 집행부가 실시한 여론조사와 달리 설립에 부정적인 의견이 더 많이 나왔기 때문. 시 집행부는 향후 공무원노조와 협의를 통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울산시공무원노조는 울산환경공단(이하 공단) 설립이 직원들의 근로조건과 직접 관계되는 직렬 대상인 만큼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2일까지 공단 설립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공업·시설·환경·관리운영직 547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이번 설문조사는 총 336명(61.4%)이 설문에 참여한 가운데 공단 설립에 찬성하는 직원은 121명(36%)에 그쳤다. 대신 반대는 151명(45%)으로 절반에 근접했다. ‘모르겠다’고 답변한 사람은 64명(19%)이었다.

공단 설립 시 이직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전체 336명 가운데 무려 255명(76%)이 이직의사가 없다고 답했다. 이직을 희망하는 이는 27명(8%)에 그쳤고, ‘모르겠다’고 답변한 사람이 54명(16%)이었다.

이 외 공단 설립 추진과정에 대한 정보공유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절반 이상인 177명(53%)이 전혀 그렇지 않다고 답변해 추진과정에 대한 보다 폭넓은 정보공개를 원했다.

또 공단 설립 시 직제와 정원 개정으로 직권면직이 발생하게 된다는 사실에 대해 254명(76%)이 모른다고 답했고, 공단 이직 시 퇴직연금수급이 지연되는 사실에 대해서도 261명(78%)이 모른다고 답했다. 아울러 공단설립 시 승진요인 감소 우려에 대해서도 165명(49%)이 모르고 있었다.

노조의 이 같은 설문조사 결과는 집행부가 지난 6월 7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와 크게 다르다. 전체 552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집행부 설문조사는 308명(55.7%)이 참석한 가운데 176명(57%)이 공단 설립에 찬성의사를 표시했다. 설문참여율도 노조보다 낮은데다 차이가 20% 이상 났다. 또 공단설립 후 이직의사를 묻는 질문에도 43명(14%)이 찬성해 노조의 설문조사 결과와 6% 정도 차이가 났다.

이처럼 자체 설문조사 결과가 집행부 설문조사와 차이가 크게 나자 노조는 현재 공무원노조법 8조를 근거로 단체교섭 대상에 해당된다며 향후 공단 설립과 관련해 노조와 반드시 협의를 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공단 설립에 대한 △타당성 등 정확한 데이터에 의거한 분석 △단체교섭 제4조 및 제8조에 따른 직원들의 알권리 보장까지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단 설립에서 노조의 설문조사가 반드시 필요한 사항은 아니다”며 “하지만 노조의 요구사항이 있는 만큼 향후 노조와 협의를 통해 설립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는 하수처리장 등 시가 직영, 민간위탁 등으로 분산 관리하고 있는 지역 환경기초시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울산환경공단 설립을 지난해 하반기부터 추진해 왔다. 지난 5월 초 설립타당성 용역이 마무리됐고, 같은 달 지방공기업평가원의 타당성 검토용역 결과 ‘타당하다’는 결론까지 내려지면서 탄력을 받았었다.

설립 타당성 검토 용역자료에 따르면 공단은 이사장 산하 경영본부와 사업본부로 구성된다. 경영본부의 경우 경영기획처와 경영지원처로 나눠지고, 사업본부는 용연사업소, 온산사업소, 회야사업소, 언양사업소, 방어진사업소 등 5개 사업소로 이뤄진다.

또 별도의 안전감사팀도 운영된다. 인력은 임원 3명을 비롯해 지원부서 22명, 사업소 167명 등 총 192명으로 출범할 계획이다.

임원은 이사장을 비롯해 상임이사를 겸한 경영본부장과 사업본부장이고, 팀장급 이상 관리직(3급 이상 임·직원)은 20명이다. 자본금은 타 지역 환경공단을 참고해 5억원이고, 소요자원은 연간 515억6천만원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상길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