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13주년 특집]울산지역 학교에 부는 ‘녹색교육’ 열풍
[창간 13주년 특집]울산지역 학교에 부는 ‘녹색교육’ 열풍
  • 정인준
  • 승인 2020.11.11 22: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태교육·학교텃밭·채식급식·친환경 공간혁신 등

울산 교육에 녹색(Green)바람이 불고 있다. 녹색바람은 미래 지속발전 가능한 교육으로 주목받으며 △그린정책 △그린교육 △그린스쿨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그린교육은 학생들이 시교육청에 교육기회의 확대를 요구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정책들을 이끌어낼 정도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 코로나19 상황에서 경제를 살리기 위한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은 교육부의 그린스마트스쿨정책을 통해 학교를 그린교육 혁신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학생들의 교육수요 욕구가 이끌고 이를 뒷받침할 정책들이 수립되며, 학교공간이 그린공간으로 혁신되는 일들이 지금 울산교육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다.

11일 북구 에너지고등학교 학생들이 교내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로 태양광 에너지 교육을 받고 있다. 최지원 기자
11일 북구 에너지고등학교 학생들이 교내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로 태양광 에너지 교육을 받고 있다. 최지원 기자

◇(가칭)기후위기대응교육센터 설립 학생 관심 폭발적

“우리는 기후위기를 인식한 첫 번째 세대이자 기후위기를 막을 수 있는 마지막 세대다”- (가칭)기후위기대응교육센터 학생기획단 단장 서우진(울산과학고3)군.

“이미 청소년들은 누려야할 환경에서 불평등한 쪽이 돼버렸다. 친구들과 함께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목소리를 높여 나가겠다”-윤현정(우신고1)양.

학생들은 또래인 스웨덴 청소년 기후활동가 그레타 툰베리(18)의 영향을 받고 있다. 그레타 툰베리는 2018년 8월 학교를 빠지고 스웨덴 국회의사당 앞에서 기후 변화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벌였고, 이 시위는 전 세계 수백만명의 학생들이 참가하는 ‘미래를 위한 금요일’ 운동으로 이어졌다.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의식과 환경교육의 절박함은 학생들의 생각과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교육청은 코로나19 이후 울산교육의 미래 방향을 찾기 위해 중·고등학생들과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때 학생들은 ‘체험형 생태교육의 확대’를 강력이 요구했다. 기후위기의 마지막 세대가 되지 않기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실천 가능한 교육을 받고 싶어 한 것이다.

이를 반영해 시교육청은 학생들의 지대한 관심 속에 (가칭)기후위기대응교육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시교육청 생태교육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민주시민교육과 김수정 장학사는 “기후위기대응교육센터 학생기획단을 처음 12명 정도를 모집하려 했는데 77명이 응모해 결국 64명으로 구성했다”며 “학생들의 생태교육 욕구와 관심에 깜짝 놀랐다”고 밝혔다. 이 기획단은 역할에 따라 공간디자인, 에너지, 해양, 환경실천, 채식, 캠페인 분과로 편성돼, 센터설립을 학생자치로 지원하고 있다.

시교육청의 생태교육은 올해 1월 수립된 ‘기후위기 대응강화 기본계획’에 따라 추진되고 있다. 주요 과제로는 △기후위기 대응교육 △생태환경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에너지교육 △학교텃밭 △시민참여제안 공모사업 △생태급식 체계 구축 등이 있고, 22개의 세부과제로 추진된다.

최근 시교육청이 시작한 전체 학교 채식선택급식제나 지구 온도 1도 낮추기(교실온도 1도 낮추기) 운동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지난 8월 8일 (가칭)기후위기대응교육센터 설립 학생기획단 첫 회의에서 학생들이 아이디어 회의를 하고 있다
지난 8월 8일 (가칭)기후위기대응교육센터 설립 학생기획단 첫 회의에서 학생들이 아이디어 회의를 하고 있다

◇시교육청 ‘탈석탄금고’ 선언… 기후위기 대행동 촉구 실천적 선언

‘기후위기 대응강화 기본계획’이 학생들의 생태교육을 뒷받침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면, ‘탈석탄금고’ 선언은 시교육청이 정부나 사회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그린정책을 촉구하는 전략적 정책이다.

지난 8월 6일, 시교육청은 ‘탈석탄금고’를 선언했다. 교육금고 업무를 취급하는 금융기관을 선정할 때 ‘탈석탄금고’를 지정키로 한 것이다. 시교육청의 이같은 방침은 충남도교육청, 서울시교육청에 이은 전국 3번째 선언이다. 탈석탄금고는 미세먼지의 주범인 석탄발전소와 관련산업에 대한 투자를 하지 않기로 공개적으로 선언했거나 석탄발전 투자 중단에 대한 계획을 밝힌 은행을 말한다.

국내 금고시장 규모는 2019년 전국 지자체 통합회계 기준으로 341조원에 달한다. 지자체 산하기관과 출연기관 등을 합치면 453조원에 이르러 국내은행의 핵심적인 영업영역이다. 이중 전국 시도 교육청의 금고시장 규모는 70조5천960억원, 시교육청의 예산은 1조7천672억원이다.

노옥희 울산교육감은 당시 탈석탄금고 선언을 통해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지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며 “교육금고 지정에 있어 온실가스를 대량으로 발생시키는 석탄발전 등 화석연료 투자를 지양하고, 재생에너지 투자를 늘려 저탄소 경제를 이행하는 데 기여하는 기후금융 확산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시교육청에 이어 공공부문의 탈석탄 금고지정 선언이 이어질 경우 온실가스 주요 배출원인 석탄화력발전을 이른 시기에 줄이려는 탈석탄 정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학교 태양광 발전 증가세… 4년 발전량 원전1기 1시간 멈추게 한 효과

이와 함께 시교육청은 교육부의 ‘그린 스마트 스쿨’ 정책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그린 스마트 스쿨’은 전국 노후 학교를 디지털과 친환경 기반 첨단학교로 전환해 언제 어디서든 온·오프라인 융합 교육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시교육청은 교육부 방침에 따라 내년부터 40년 이상된 노후학교 37개 학교 57개동을 2025년까지 3천705억원을 투입해 친환경 공간으로 전환한다. 이들 학교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를 지향해 △공간혁신(사용자 참여) △그린학교(에너지자립률 20% 이상) △스마트교실(디지털 전환 기반) △학교복합화(지역사회 중심 커뮤니티) △노후시설 개선(지진보강) 등이 이뤄진다.

사실 ‘그린 스마트 스쿨’은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에 따른 시설투자다. 예전 ‘녹색성장’ 정책과 비슷하다. 그러나 지역사회 커뮤니티 중심 개념이 들어간 학교복합화는 새로운 개념이고, 사용자 참여기반 공간혁신은 계속정책이다. 쉽게 말해 태양광 발전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을 의무화하고 학교의 역할을 확대하는 공간을 만든다는 것이다. 학생들이 상상하는 대로 스마트 환경을 구축하는 게 골자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은 현재 20%로 계획돼 있지만 매년 2%를 높여 2025년엔는 30%까지 높이겠다는 계획은 중요하다. 학교를 태양광 발전소로 활용하는 대목으로 학생들에게 신재생에너지를 교육하는 살아있는 현장이 될 수 있다.

시교육청은 지난 2008년부터 학교 옥상에서 태양광 발전을 하고 있다. 전체 440개 학교 중 257개 학교에서 태양광 발전을 한다. 발전량도 무시할 수 없다. 집계를 시작한 2017년 321만6천㎿, 2018년 351만8천㎿, 2019년 382만8천㎿, 올해 상반기 226만1㎿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이 발전량을 합하면 1.321GW로 원자력 발전소 1기를 1시간 멈춰세우는 효과와 비슷하다.

그레타 툰베리의 영향을 받아 초등6학년부터 채식을 시작한 윤해영(울산여고1) 양은 그동안 학교에 도시락을 싸 다녔다. 그러다 지난달 초 전체 학교에 채식 선택급식이 시작되자 윤 양의 도시락 싸기는 사라졌다. 학교에서 채식급식을 먹을 수 있게 돼서다.

윤해영 양과 서두에 언급한 윤현정 양은 기후운동 활동가로 활약하는 친구사이다. 이들은 ‘기후행동을 촉구’하는 피켓을 들고 지난 4년을 거리에서 시위했다. 이들의 울림은 지금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의 외침이다. 또 학생들의 사이에서 폭 넓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예전엔 외롭게 외쳤던 목소리들이 생태환경교육의 강화로, 울산지역 학교에 ‘그린교육’의 열풍으로 불어오고 있다. 정인준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