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울산 산업폐기물 문제 해법은? 매립장 포화 눈앞… 운반비 2.5배 외지로
<기획> 울산 산업폐기물 문제 해법은? 매립장 포화 눈앞… 운반비 2.5배 외지로
  • 이상길
  • 승인 2020.07.05 19: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上- 코로나·처리비 인상 ‘이중고’
-지역 매립가능 용량 60만t 남고

-3년 내 매립장 모두 수명 다해

-산업폐기물 80% 외지로 빠져

-분진류 처리비 5년전보다 5배↑

최근 울산상공회의소는 산업폐기물 처리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역 산업체들에 대한 동향파악에 나섰다. 코로나19 사태로 가뜩이나 힘든 상황에서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폐기물 처리 비용 문제로 지역 산업단지 곳곳에서 신음소리가 터져 나오자 동향파악에 나선 것. 코로나 사태 속에서 더욱 심각해져 가는 지역 산업폐기물 대란 문제를 짚어보고 해결방안을 모색해본다.<편집자주>

폐기물 운반업체에 근무하는 김정훈(46·가명)씨는 폐기물 처리문제로 신음하는 지역 기업체들의 소리를 누구보다 생생히 듣고 있다. 김씨에 따르면 분진류의 폐기물은 5년 전과 비교해 5배 정도 올랐다고 한다. 5년 전 t당 8~9만원대였던 처리비용이 지금은 35~40만원 선이라는 것.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웃돈을 더 얹어 줘도 지역 내에서는 처리할 곳이 마땅치 않다고 한다. 현재 지역 산업폐기물 매립업체는 ㈜코엔텍, ㈜유니큰, ㈜EST 3곳이 있다. 그나마 3곳 중 2곳은 매립용량이 포화상태다. 남아 있는 매립 가능 용량이 60만t 정도에 불과해 3년 안에 매립장은 모두 수명을 다하게 된다.

이런 가운데 일부 매립업체들의 경우 자체물량 소화로 지역 내에서는 폐기물을 받아주는 곳을 찾는 것 자체가 어렵다고 한다.

김씨는 “매립장 운영업체들이 부피는 작으면서 처리단가가 비싼 폐기물만 선별해 받는 경우가 많다. 일부 업체의 경우 자체 물량만을 소화하는 경우도 많다”며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역 내에서 나오는 산업폐기물의 80% 정도가 여전히 외지로 빠져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또 “주로 김해나 경주 쪽인데 관내보다 운반비가 2.5배 이상 더 들어가는데다 처리비용은 지역 매립장과 큰 차이가 없어 거래하는 기업들 대부분이 가뜩이나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에서 이중고에 시달린다며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씨는 “최근 들어서는 매립 폐기물이 재활용으로 분량이 많이 빠지고 있다”며 “하지만 매립 단가가 올라가니까 재활용 단가도 올라갈 수밖에 없어 기업들의 사정은 여전히 좋지 않다”며 심각성을 시사했다.

울산공단에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은 하루 6천여t에 이른다. 10년 동안 11.4%가 증가했는데 독성이 강한 지정폐기물의 경우 무려 65.7%나 늘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울산국가공단 6개 공장장협의회는 2018년 기자회견을 갖고 “지역 내 산업폐기물 처리업체의 매립용량과 잔여기간이 한계점에 달해 폐기물 대란이 우려되는 만큼 울산시가 적극적으로 나서 줄 것”을 촉구하기도 했었다.

이번에 동향파악에 나선 울산상의도 지난 3월 회장단이 송철호 시장과 직접 만나 관내 폐기물 매립시설 인프라 확충을 건의했고, 지난 5월에는 당시 제21대 국회의원들 당선자들과 만나 역시나 인프라 확충을 건의했다.

앞서 송철호 시장은 “기존 폐기물 매립시설의 용량을 증설하고 신규 매립장 확보를 위해 민간기업과의 컨소시엄 구성이나 공영개발 방식으로 신규 매립장 확보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현장에서는 달라진 게 거의 없다는 반응이다.

온산공단협의회 관계자는 “시에서 대책을 내놓고는 있지만 폐기물 매립이란 게 단기간에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어서 현장에서 피부로 체감하는 사정은 거의 나아진 게 없다”고 말했다.

이어 “폐기물관리법에는 기업체에서 나오는 지정폐기물은 종류에 따라 45~60일 이상 보관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때문에 폐기물을 제때 처리하지 못하면 최악의 경우 공장 가동을 멈춰야 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지난해 말 울산연구원이 발표한 매립장폐기물 관리방안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울산의 기존 매립지 사용연한은 최대 3년 미만으로 단계별 장래 매립지 소요용량은 2025년까지 418만5천㎥가, 또 2030년까지는 627만7천㎥가 요구됐다.

당시 울산연구원은 신규매립시설 조성의 경우 공공개발, 민간개발, 민관공동개발 3개안을 제안한 뒤 각각의 장단점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이상길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