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원전해체산업 육성 ‘기업 유치’ 박차
울산시, 원전해체산업 육성 ‘기업 유치’ 박차
  • 이상길
  • 승인 2019.10.13 19: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도기업 두산重 사실상 낙점·연관 기업 문의도 잇따라
에너지융복합산단 유치는 보완 후 내년 상반기 재신청
울산시가 지역 원전해체산업 육성을 위해 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앵커기업(주도 기업)으로 두산중공업이 이미 낙점된 가운데 연관기업(협력업체)들도 진입을 위해 문을 두드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시는 최근 1차 서류평가에서 탈락한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유치도 내년에 다시 신청키로 하는 등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원전해체산업의 융성을 위한 준비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3일 시에 따르면 지역 원전해체산업을 이끌어갈 앵커기업으로 두산중공업이 사실상 낙점된 것으로 확인됐다. 두산중공업은 2015년 11월 한국전력기술과 원전해체분야의 기술자립을 위한 연구개발 및 국내외 원전해체 사업진출에 공동으로 나서기 위해 상호 협력협약을 체결하는 등 일찌감치 국내 원전해체분야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이에 시는 지난 4월 부산과 공동으로 원전해체연구소를 유치한 이후 두산중공업과 원전해체산업 관련 협력관계를 형성해왔다. 실제로 지난 6월 17일 시의사당 시민홀에서 개최된 ‘원전해체산업 육성 및 수소연료전지 발전 토론회’에서는 손희동 두산중공업 부장이 발제자로 나서 ‘원전해체 산업에서 중소기업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후 시는 지난 8월 정부가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지정을 고시하자 단지 내 앵커기업으로 역시나 두산중공업을 지정한 뒤 산업부에 신청서를 제출하기도 했었다.

시 관계자는 “원전해체연구소 공동 유치 후 이미 국내 원전해체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한 두산중공업과 협력관계를 꾸준히 형성해 왔다”며 “울산의 경우 특히 제염처리와 폐기물 처리가 특화돼 있는데다 두산도 앵커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길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향후 원전해체연구소에서 기술 실증화 이후 두산중공업을 중심으로 기술상용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에는 원전해체산업과 관련해 타 지역 연관기업들도 울산시에 문을 두드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서울 소재 한 방사능 계측 및 원전해체 전문 중소기업이 최근 울산지사 설립을 위해 울산시에 문의를 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시는 지난달 말 1차 서류 평가에서 탈락한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유치도 내년에 재신청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산업부는 지난 8월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기본계획’을 고시했다. 이에 시는 부산과 공동으로 유치를 신청했다.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는 에너지산업과 에너지연관산업의 집적 및 융복합을 촉진하기 위해 조성된 지역으로 국가적 육성이 필요한 에너지 중점산업 분야의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해 기술혁신·융복합 거점이 되는 클러스터를 말한다.

원전해체연구소 공동유치로 원전해체산업 전략적 요충지가 된 울산시는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까지 유치할 경우 국가차원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지역 사회·경제 전반에 시너지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아쉽게도 1차 서류 평가에서 탈락했다. 10개 지자체 총 8개 팀이 신청한 1차 서류 평가에서는 ‘광주·전남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와 ‘전북 새만금융복합단지’가 통과됐다.

시 관계자는 “산업부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내년에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신청을 한 번 더 받을 계획”이라며 “이에 다음 달 중으로 산업부 평가위원들과 참여위원들을 만나 컨설팅을 받아 보완 후 내년 상반기에 재신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사실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는 상징성이 크다. 굳이 지정되지 않아도 원전해체산업을 신성장동력 사업으로 육성하는데 큰 문제는 없다”며 “현재 시는 부산과 공동으로 유치한 원전해체연구소를 중심으로 원전해체산업 융성을 위한 준비 작업을 착착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지역 내 원전해체 관련 기존 기업 외 타 지역 기업들의 울산유치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울산시는 지난 4월 부산과 공동으로 원전해체연구소 유치에 성공했다. 센터가 들어설 부지는 울산 울주군 서생면과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 걸친 신고리 7·8호기(미정) 예정부지와 접한 태양열 발전 설비 인근 지역이다.

같은 달 울산시와 부산시는 산업부 및 한수원(주), 경북도와 함께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까지 체결하면서 본궤도에 올랐다.

2천400억이 투입되는 원전해체연구소는 3만3천㎡의 부지에 실험실과 분석실, 해체 기술 실증과 인증 시설, 방폐물 시험 시설, 모의 훈련 시설 등을 갖출 계획이다. 연간 운영 예산은 500억원 가량이다. 이상길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