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놈 산업의 대중화’ 울산 게놈 엑스포 개막
‘게놈 산업의 대중화’ 울산 게놈 엑스포 개막
  • 김보은
  • 승인 2019.08.28 20: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석 장비·진단 서비스·전시·석학 강연·유전자 검사 체험 등 행사 다채
28일 UNIST 제4공학관에서 열린 게놈 엑스포 2019 개막식에서 송철호 시장, 황세영 시의장, 노옥희 교육감, 장광수 정보산업진흥원장, 강길부 국회의원, 김종훈 국회의원이 유전자 기증 서약식을 가진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8일 UNIST 제4공학관에서 열린 게놈 엑스포 2019 개막식에서 송철호 시장, 황세영 시의장, 노옥희 교육감, 장광수 정보산업진흥원장, 강길부 국회의원, 김종훈 국회의원이 유전자 기증 서약식을 가진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게놈 산업 발전전략 모색과 글로벌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게놈 엑스포 2019’가 28일 UNIST에서 개막했다.

울산시와 울산시교육청, 울산정보산업진흥원, UNIST가 ‘게놈 정보와 게놈 산업의 대중화’를 주제로 공동 개최한 이번 엑스포는 29일까지 진행된다.

게놈 엑스포에서는 게놈분석 장비와 진단 서비스 중심의 기업 전시회, 글로벌 석학 강연, 최첨단 게놈기술·상품 발표, 유전자 검사 체험 등을 비롯한 다양한 시민 체험행사를 만날 수 있다.

첫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울산시, 국내·외 연구기관, 병원, 게놈 관련 기업 관계자가 참석하는 오프닝 세레머니를 포함해 국제심포지엄이 열렸다.

국제세미나에서는 세계 석학인 영국의 데니스 노블(Denis Noble) 옥스퍼드대 교수가 유전체학과 생리학의 인과관계(Genomics and physiological causation)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영국의 줄리언 고프(Julian Gough) MRC 분자생물학 실험실 박사 등이 ‘개인 유전체학 및 응용’을 주제로 다양한 강연을 하고, 마지막으로 UNIST 박종화 교수(게놈 산업기술센터장)가 ‘한국 게놈 사업’에 대해 발표했다.

MRC 분자생물학 실험실은 현대 분자 생물학 탄생지로 11개 노벨상을 비롯해 수많은 과학상을 수상한 세계 최고 수준 실험실로 최초의 단백질 3차 구조, DNA 이중나선 규명, DNA 해독기 발명 등 생물학 분야 수많은 기술을 개척했다.

이날 오프닝 행사에는 송철호 울산시장과 황세영 시의장, 지역 국회의원, 시민대표 등이 울산 ‘Genome Korea in Ulsan’ 사업의 성공적 추진과 정부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과의 협력을 통한 게놈 연구와 산업 발전을 위해 유전자 기증 서약식도 열렸다.

개막식에 이어 송 시장 주재로 울산지역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을 위한 간담회가 열렸다. 간담회에서는 최근 속속 창업하고 있는 바이오기업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역 병원과 대학, 기업 협력 구도와 지역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에 있어 실현 가능한 발전방안을 토론했다.

이튿날에는 데니스 노블 교수가 진화 관련 주제로 특강하고 전문가와 시민 대화, 글로벌 석학 특강, 게놈과 바이오헬스 전문 기업의 기술, 제품을 소개하는 게놈 산업 세미나가 열린다.

‘생명 연장의 꿈, 게놈으로 실현’을 주제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엄융의 명예교수, UNIST 박종화 교수, 울산병원 신은석 원장 등의 시민 대상 특별 강연도 매일 2회씩 개최된다.

이밖에 글로벌 바이오 경제 시대 주역이 될 지역 청소년을 위해 ‘첨단 미래 4차 산업혁명의 꽃, 게놈’을 주제로 UNIST 박종화·이세민·조승우 교수가 학생 대상 강연과 함께 청소년 진로에 대한 고민을 나누는 시간도 있다.

심포지엄과 강연 외에도 현장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유전자 검사 체험, DNA 나선 구조 모형 만들기, 게놈·바이오 진로체험 등 체험행사와 25개 국내·외 게놈 관련 기업 전시가 선보인다.

송철호 시장은 “울산은 자타가 공인하는 국내 유일 대한민국 게놈 산업 허브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춰 가고 있다”며 “게놈 엑스포 2019는 국내 게놈 산업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게놈 산업의 세계 흐름과 미래비전을 공유하면서 폭넓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보은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