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국가산단 지하배관 안전체계 구축 ‘속도’
울산 국가산단 지하배관 안전체계 구축 ‘속도’
  • 이상길 기자
  • 승인 2019.07.16 2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市 통합파이프랙 용역 착수 보고회

- 산단공, 올해 기본설계 추진
- 통합관리센터 후보지도 검토 
- “사업 완료되면 산단 안전↑”

향후 울산 국가산업단지의 안전을 책임질 통합파이프랙 기본설계와 관련해 로드맵이 제시됐다. 또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 기본 추진계획도 나왔다. 

울산시가 16일 ‘울산권 국가산단 지하배관 안전체계 구축사업 착수보고회’를 가진 가운데 용역발주자인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산단공)은 지하배관 용역사업 추진계획 발표를 통해 이를 제시했다. 

‘통합파이프랙’이란 현재 지역 산단을 중심으로 지하에 우후죽순으로 매설된 각종 배관들을 지상으로 끌어올려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하는 것으로 폭발 등 각종 사고가 잦은 석유화학단지의 안전을 위해서는 필수라는 지적이 계속돼 왔다. 

이에 그동안 지역 대학과 연구기관 등 16개 기관산업안전 전문가들은 ‘국가산단 지하 배관 선진화사업단’을 구성해 통합파이프랙 설치 등을 정부에 꾸준히 요구해왔지만 수천억에 이르는 막대한 예산이 발목을 잡으면서 사업 추진은 지지부진한 상태였다. 그랬다가 올해 기본설계비로 5억6천만원의 국비를 극적으로 확보해 첫 삽을 뜨게 됐다.

이날 산단공의 발표에 따르면 통합파이프랙 기본설계와 관련해 올해는 국비로 받은 5억6천만원을 투입해 △시범사업 구간 내 우선설계구간 도출 후 기본설계 실시 △기본설계 후 구간 수요 심층조사 및 사업 타당성 재분석 △건설비용 외 구조물 이설비용 등이 포함된 실 사업비 산출 작업을 추진키로 했다. 

전체적인 통합파이프랙 기본 설계작업은 △1차 설계 △수요조사 △규제완화검토 △최종 설계 순으로 진행된다. 

먼저 ‘1차 설계’의 경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일반 지도와 같은 지형정보와 함께 지하시설물 등 관련 정보를 인공위성으로 수집, 컴퓨터로 작성해 검색, 분석할 수 있도록 한 복합적인 지리정보시스템) 및 석유화학단지협의회 자료를 활용해 기존 지하배관과 회피해 설계하고 설치 공단 확보 불가 시 인접 기업 부지 활용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수요조사’는 1차 설계(안)을 바탕으로 석유화학단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CEO(산업부), 공장장, 부서장(울산시, 산단공) 주관으로 조사를 추진키로 했다. 

다음 단계는 ‘규제 완화 검토’로 파이프랙 설치 시 도로·하천 점용, 인전 기업부지 활용 등에 저촉될 수 있는 법률을 조사하고 규제완화를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마지막 ‘최종 설계’를 통해 수요조사 결과 및 배관 포화지역, 안전성 위험구간 등을 우선으로 실효성 있는 기본설계를 완료할 예정이다.

산단공은 이날 국가산단 지하배관의 안전관리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할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이하 센터) 건립과 관련해 향후 추진계획도 제시했다. 

먼저 센터 기능 및 운영방안 연구용역을 통해 센터운영을 위한 권한·책임 관련 법제도를 검토하고 전문성에 따른 공공기관 파견 등 운영체계도 점검할 계획이다. 아울러 운영을 위한 재정적인 검토도 실시한다. 이후 공장 접근성과 기반시설, 잠재확장성을 고려해 부지선정을 마치면 센터 기능 및 운영관리, 장비운영 방안에 따른 최적의 기본설계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산단공 관계자는 “현재 조성 중인 부곡·용연지구 등 후보지를 대상으로 부지를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산단공은 지역 국가산단 지하배관 안전체계 구축을 위해 지하배관 안전진단도 진행 중이다. 지난해부터 오는 2022년까지 5년 간 진행되는 ‘울산권 국가산단 지하배관 안전진단사업’은 총 40억원이 투입돼 매설 20년 이상의 위험물질 배관(가스관, 화학관, 송유관)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시 관계자는 “진행 중인 국가산단 지하배관 안전진단에 통합파이프랙과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까지 구축된다면 울산 국가산단의 안전은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상길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