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경제자유구역 유력 후보지 5곳 ‘윤곽’
울산경제자유구역 유력 후보지 5곳 ‘윤곽’
  • 이상길
  • 승인 2019.02.26 23: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市·울발연, 후보지 선정 검토기준 제시9곳 검토 중… 장현첨단산단 등 5곳 유리

울산지역 경제 혁신성정의 거점이 될 ‘울산경제자유구역’ 유력 후보지에 대한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후보지역 검토기준을 토대로 검토한 결과 총 9곳의 후보지 가운데 장현도시첨단산업단지, 울산연구개발특구, 울산특화산업단지, 동북아에너지허브(+항만배후단지), 부유식 해상풍력 클러스터 5개가 유리한 곳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4개는 검토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사실상 지정이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울산시가 26일 오후 시청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한 ‘울산경제자유구역 지정 전문가 토론회’에서 드러난 내용으로 향후 울산경제자유구역 지정 과정에서 적잖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무엇보다 ‘울산경제자유구역 후보지역 검토 기준’이 눈길을 끌었다.

울산시와 울산발전연구원이 제시한 검토기준은 △제2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 △울산여건 분석 통한 산업전략 방향 △국가 및 울산시 계획 △산업통상자원부 담당자 의견 등 4가지다

먼저 ‘제2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은 신산업ㆍ서비스업 육성을 비롯해 효율성강화, 산업 간 연계성(산업연계방안, 클러스터 형성)이 검토 기준의 구체적인 내용이다. 또 ‘울산여건 분석 통한 산업전략 방향’은 북방경제교류(항만물류 육성), 에너지 허브화(석유, LNG, 부유식 해상풍력, 수소에너지)가 구체적인 내용이고, ‘국가 및 울산시 계획’은 에너지산업 육성(석유, LNG, 신재생에너지, 수소에너지)을 비롯해 동북아 항만 중심지 육성, 관광산업 활성화, 주력산업 고도화, 생활권별 발전이 그것이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 담당자 의견’은 중복지정효과 활용(유시 기능 제도 활용)과 중점유치업종 차별화가 핵심 내용이다.

시와 울발연은 이러한 검토기준을 총 9곳의 후보지에 적용해 분석했다. 9곳은 △장현도시첨단산업단지(중구 장현동 21번지 일원) △울산연구개발특구(UNIST+울주군 서부권 일원) △울산특화산업단지(울산 관내) △울산자유무역지역(울주군 청량읍) △강동관광단지(+산하도시개발지구/북구 산하동, 정자동, 무룡동 일원) △조선해양 클러스터(동구 고늘로 77일원) △대왕암 공원(동구 일산동, 방어동 일원) △동북아에너지허브(+항만배후단지/울산신항 일원) △부유식 해상풍력 클러스터(울산 항만 인근 육상 및 해상)이다.

검토 결과 장현도시첨단산업단지, 울산연구개발특구, 울산특화산업단지, 동북아에너지허브(+항만배후단지), 부유식 해상풍력 클러스터 5곳이 검토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비부합’이 4개 중에 1개도 없었다. 장현도시첨단산업단지와 울산특화산업단지의 경우 나란히 산업통상자원부 담당자 의견에 ‘부합’됐고, 나머지 3개는 ‘일부 부합’을 보였다. 동북아에너지허브(+항만배후단지)는 울산여건분석 통한 산업전략방향에서 ‘부합’을 보였고 나머지는 모두 ‘일부 부합’으로 나왔다. 울산연구개발특구와 부유식 해상풍력 클러스터는 4개 모두 ‘일부 부합’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특히 장현도시첨단사업단지는 단점인 쟁점사항에서도 ‘유치업종 협의가 필요하다’는 것 1개밖에 없어 가장 우위를 보였다

그 외 울산자유무역지역은 제2차 경제자유구역기본계획과 산업통상자원부 담당자 의견에서 ‘일부 부합’으로 나왔지만 나머지 2개는 ‘비부합’으로 분석됐다. 강동관광단지(+산사도시개발지구)는 울산여건분석 통한 산업전략 방향에서 ‘비부합’이 나왔다. 나머지 3개는 ‘일부 부합’했다. 조선해양 클러스터와 대왕암공원은 나란히 제2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과 국가 및 울산시 계획 연계성은 ‘일부 부합’으로 나왔지만 나머지 2개는 ‘비부합’으로 분석됐다.

시 관계자는 “향후 후보지 추가 검토를 거쳐 사업지구 공간 구상, 사업 지구별 개발계획 수립, 투자유치 전략 수립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경제자유구역은 최상위 경제특구로서 국내외 기업의 투자 확대 및 일자리 창출과 울산 경제 재도약의 거점으로 활용해 주력 산업의 경쟁력을 보완하고, 국제 비즈니스, 관광, 항만, 물류, 신산업 기능을 추가해 울산시를 북방경제협력 중심도시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경제자유구역은 2003년 인천을 시작으로 부산ㆍ진해, 광양만권, 황해, 대구ㆍ경북, 충북, 동해안권 등 지난해 6월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총 7개 구역, 281㎢를 지정 및 조성해 운영 중이다. 경제자유구역에 대해서는 조세감면이나 입지 및 기반시설 지원 등이 이뤄진다. 최근 제2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2018~ 2027)을 발표한 산업부는 경제자유구역을 기존 ‘개발 및 외자유치’ 중심에서 ‘지역경제 혁신 성장’ 중심으로 전환키로 하면서 기대감이 더 커지고 있다.

이상길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