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방 물류시장 선점 조건, 조직과 인력
북방 물류시장 선점 조건, 조직과 인력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8.09.16 21: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재인 정부와 송철호 지방정부의 공동목표 격인 ‘북방 물류시장 진출’은 이제 더 이상 꿈만은 아니다. 이번에는 울산시 싱크탱크의 한 축을 이루는 울산발전연구원이 그 가능성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면서 북방 물류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선행조건을 내놓아 눈길을 끈다.

이 같은 제안은 울산발전연구원 김승길 박사가 16일자 이슈리포트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울산 교통·물류 연계방안’을 통해 제시했다. 김 박사는,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 발맞춰 북방 물류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울산시가 연구조직 구성과 전문인력 확충, 중장기 로드맵 수립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는 정책제언을 내놓았다.

여기서 ‘북방 물류시장’이란 북한뿐 아니라 중국·러시아 등 극동지역 전체를 포괄한다. 김 박사는 북방 물류시장 진출을 위한 밑그림은 윤곽이 보이지만 정작 이를 구체화하고 추진하는 데 필요불가결한 연구조직과 전문인력은 아직 구상 단계에도 이르지 못한 것 같다며 선결과제의 하나로 손꼽았다. 김 박사의 이 같은 지론을 현실화하기 위한 작업을 울산시는 지금부터라도 서두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울산이 북방 물류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당연한 수순이기 때문이다.

김승길 박사의 또 다른 의견도 귀담아들을 만한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김 박사는 울산을 가리켜 ‘육·해·공 교통수단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국내 교통·물류의 요충지’라며 북한뿐만 아니라 중국, 러시아 등 유라시아 대륙으로 진출하는 데 상대적 이점이 많은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도로·철도·항만·항공 중에서도 ‘2005년 남북해운 합의서’를 통해 개설키로 한 남한의 여러 항구도시와 북한의 여러 항구도시를 잇는 ‘해상항로’를 우선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남한의 항구도시’ 중 동해안권역의 항구도시에는 부산과 울산, 포항, 속초가 포함되고 이 중에서도 부산과 포항은 ‘잠재적 경쟁도시’이면서도 ‘협력이 필요한 도시’로도 볼 수 있다.

김 박사는 또 국내에서 우위적 지위를 누려온 조선·자동차·석유화학 등 울산의 3대 주력산업을 떠올리면서 이 같은 항만과 산업의 강점을 살려 북한의 동해권역에 위치한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와 적극적으로 손잡을 수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사실 현재로선 내리막길을 치닫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울산의 조선산업만 하더라도 북한의 양호한 항만여건, 저렴하고 우수한 인적여건을 감안하면 남한의 어떤 도시보다 경쟁적 우위에 설 수 있다는 것이 다수 전문가들의 진단일 것이다.

김 박사는 울산의 교통·물류·산업 측면의 강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특수경제지대 주요도시인 나진·선봉, 청진, 단천, 함흥, 원산과 중국의 동북3성,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와 자매결연을 맺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동해안발전포럼 등을 연결고리삼아 울산이 동해안권역 도시들과 손잡고 남북교류협력 및 북방물류시장 선점 방안을 공동 발굴해서 정부에 공동 건의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도 내놓았다.

돌다리도 두들겨가며 건너는 신중한 태도 못지않게 쇠뿔도 단김에 빼는 추동력 역시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