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해체산업 적지’로 확인된 울산
‘원전해체산업 적지’로 확인된 울산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7.07.20 20: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 설립을 향한 울산지역의 움직임이 그 어느 때보다도 활발하다. 울산시가 지난 6월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이하 ‘연구센터’) 유치를 위한 TF팀을 발족시킨 이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TF팀은 연구센터 유치를 겨냥한 논리 개발과 협력 네트워크 강화, 원전 해체 활성화 지원 사업 등에 주력하고 있다.

20일 오후 온산공단 내 울산테크노파크 학남 비즈니스센터 3층 세미나실에서 가진 ‘원전해체산업 발전방안 토론회’도 그러한 열정의 산물일 것이다. 토론회에는 한국원전해체기술협회 회원사와 UNIST(울산과학기술원), 울산시 등에서 30여 명이 참석, 주제발표와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이날 행사에서는 이영환 울산시 에너지산업과장이 ‘원전해체 관련 울산시 정책과 지원 방향’이란 주제로, 김희령 UNIST 교수가 ‘한수원 원전해체 로드맵’이란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이영환 과장은 울산시가 총괄하는 가운데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해서 연구센터 유치에 온 힘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김희령 교수는 원전 해체기술의 개요와 동향, 해체기술 현황, 기술개발 로드맵에 대해 소개했다.

여기서 ‘울산시가 총괄하겠다’는 말은 ‘울산시가 총대를 메겠다’는 말과 같은 뜻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센터 유치에 대한 강력한 집념이 읽히는 대목이다. 이 과장은 또 “울산은 고리와 월성원전 사이에 위치해 시민의 94%가 원전비상계획구역인 반경 30Km 안쪽에 거주하고 있으나 원전 관련 연구나 지원기관의 입지 혜택은 전혀 받지 못했다”고 아쉬음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원전 해체에 즉각 나설 수 있는 기업과 연구소, 대학 등 국내 최고의 산·학·연 인프라를 보유한 울산에 연구센터가 유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주도면밀한 전략·전술과 지혜로운 대응이다. 연구대상인 고리1호기를 안고 있는 부산과 한수원 본부가 입지한 경북(경주시)이 서로 이점을 내세우며 연구센터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기 때문이다. ‘총대를 멘’ 울산시는 산학연관 네트워크에 ‘정치력’까지 접목시켜 ‘대정부 작전’에 빈틈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