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재선충 완전방제 ‘팔 걷었다’
산림청, 재선충 완전방제 ‘팔 걷었다’
  • 최인식 기자
  • 승인 2016.01.20 22: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니터링센터 조기 가동·TF팀 구성 4월까지 전국총괄
무인기로 피해목 조사·NFC 활용 전자예찰 대폭 강화
市, 16만그루 제거 계획… 반출 신고 등 시민협조 당부
산림청이 소나무재선충병 완전방제를 위해 팔을 걷어 붙였다.

재선충병 예찰·방제·모니터링 전담기구인 ‘소나무재선충병 모니터링 센터’를 조기 가동하고, 산림청 ‘재선충병 방제 전담 TF팀’이 오는 4월말까지 전국의 방제 상황을 총괄 관리한다.

산림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대책’을 20일 발표했다.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신규 발생지 등 선단지(재선충이 확산하는 방향 맨 앞부분 지역)에 대한 적극적인 방제를 실시한다. 피해 유형에 따라 모두베기, 소규모 모두베기 등 벌채방식을 차별화하고 파쇄방식을 확대해 피해 재발생 요인을 사전에 제거한다.

이와 함께 이달 현재 ‘소나무재선충병 모니터링 센터’를 조기 가동해 전문적인 재선충병 예찰·방제·모니터링에 나선 상태다.

특히 재선충병 예찰에 첨단 기술을 적극 활용한다. 올해 무인항공기를 통한 피해목 조사, 근거리 무선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의 재선충병 전자예찰함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또 지역별로 방제 전문성을 갖춘 업체를 통해 책임방제를 실시하고 피해가 극심한 지방자치단체 10곳에 대해 책임담당관을 배치하는 등 피해 지역에 대한 현장관리를 강화한다.

이를 통해 제주도를 제외한 모든 지역의 피해 고사목을 매개충 우화기 이전인 3월까지 조기 방제할 방침이다.

이밖에 5개 지방산림청을 중심으로 전국을 6대 권역으로 구분해 권역별 특성화된 방제전략을 추진하고, 피해고사목을 톱밥·건축자재 등으로 활용하는 등 경제적·경관적 피해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산림청의 이같은 방침에 따라 오는 3월말까지 재선충병에 감염되거나 감염이 의심되는 소나무 16만 그루를 제거한다. 재선충병과 관계없지만 큰 나무에 눌려 제대로 자라지 못한 피압목 3만 그루도 예방 차원에서 미리 제거한다.

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구역별 책임제를 적용해 각 방제업체에 할당했다. 해당 구역에 대한 평가와 함께 업체에 책임을 묻는 한편 성과가 좋을시 재계약 등 혜택이 주어진다.

시는 또 기본적으로 감염목 반출이 금지돼 있고 반출시 지자체에 미리 신고해야 한다며 시민들의 협조를 부탁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1988년 부산에서 최초 발생한 이후 현재 전국 14개 시·도, 74개 시·군·구에서 발생하고 있다.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재선충을 몸속에 지니고 소나무의 어린 가지를 갉아 먹을 때 재선충이 옮겨진다. 한 번 감염된 소나무는 급격하게 말라 죽는다.

울산시 관계자는 “기존에 입찰로 방제 업체를 선정하다 보니 업체가 계속 바뀌는데 따른 단점들이 나타났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구역별 책임제를 도입했고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인식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