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욕장 7년 연속 무사고’의 비결
‘해수욕장 7년 연속 무사고’의 비결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5.09.03 22: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6월 26일 일산해수욕장 개장으로 시작된 올해 울산 여름바다의 해수욕장 물놀이 시즌이 8월 31일 진하해수욕장 폐장으로 사실상 마감되었다. 이 기간 동안 일산과 진하 해수욕장을 찾은 물놀이객은 지자체 통계에 의하면 약 229만 명이다.

울산 인구가 2015년 3월말 기준으로 약 119만 명인 점을 감안하면 올여름 울산시민 한 사람이 두 번꼴로 해수욕장을 찾은 셈이다. 그러나 이 수치는 2개 지정 해수욕장에 대한 공식 집계일 뿐이다.

울산시민들이 많이 찾는 주전의 몽돌해변, 강동의 산하해변, 울주군의 나사해변과 솔개해변 같은 비지정 해변의 물놀이객 숫자는 빠져있다.

여하간 울산 바다는 올 여름에도 안전했다. 누구의 덕분이었을까? 그것은 여름휴가도 반납한 채 바다 안전에 매달리느라 구릿빛으로 그을린 북구청·동구청·울주군의 공무원들, 소방관·경찰관과 해양경찰관들, 그리고 민간안전관리요원들의 노고 덕분이었다.

‘안전’이란 말을 국어사전은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음. 또는 그런 상태”로 풀이한다. ‘해수욕장 안전관리’란 결국 해수욕장에서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작년 12월 ‘해수욕장 안전관리법(일명 해수욕장법)’이 시행되면서 해수욕장 안전관리를 지자체가 맡도록 한 부분만 부각되어 도처에서 우려가 쏟아졌고 책임기관이 된 지자체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역설적이지만 울산의 해양안전을 책임지는 필자로서는 오히려 반가운 일이었다. 안전은 민·관·경 모두가 함께해야 함을 경험을 통해 체득했기 때문이다. 흡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울산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빨리 예산과 인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지자체, 소방, 경찰, 해경으로 이뤄진 관계기관 협의회는 해수욕장 물놀이 안전을 위한 방파제 구실을 거뜬히 해낼 수 있었다.

관계기관 합동 ‘해수욕장 안전관리 종합대책’은 소방, 경찰, 시민수상구조대 등 투입인력 확대와 민간인력 채용, 안전시설 확충을 위한 예산의 긴급 편성을 도왔다.

지자체들은 지난해까지 해수욕장 안전관리의 중심에 있었던 해경의 노하우를 전수받아 안전요원 교육, 관계기관 합동훈련에도 신속하게 대비했다. 소방과 경찰은 근무체계를 바꾸면서까지 해수욕장 안전과 치안에 매달렸고, 해경은 인력 감소와 업무 증가에 개의치 않고 주요 해수욕장과 해변에 해상구조대를 배치해 지자체의 안전관리를 지원했다.

‘안전’과 ‘인명사고 제로화’라는 공통된 목표에는 변함이 없었다. 협의회 소속 기관들은 솔개해변에 바람으로 튜브 표류자가 꼬리를 물자 협의를 거쳐 민간 안전요원을 채용하고 물놀이 경계선을 설치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했다. 분업과 협업을 통해 해변-해상을 아우르는 쌍방향 안전관리가 가능해진 것이다. 그 덕분에 얻어낼 수 있었던 것이 ‘울산 7년 연속 해수욕장 물놀이 무사고 달성’이라는 만족할 만한 결과였다.

하지만 안전사고 예방은 관계기관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 바다는 우리에게 아름다움과 풍요로움을 제공하지만 예측할 수 없는 수많은 위험요소를 품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울산 앞바다에서 발생한 적조의 원인생물이 유해 해양생물로 분류된 ‘코클로디늄’으로 밝혀지자 해수욕장 이용 제한 조치가 이뤄졌고, 독성이 강한 ‘노무라입깃해파리’가 발견되자 긴급 구제작업이 이뤄지기도 했다. 이 모두 유관기관의 협업 덕분이었다.

지자체 등 관계기관들은 문제점을 분석, 협의해서 개선하고 안전요원의 교육·훈련, 안전시설·장비 예산의 확보 등에 더욱 신경 쓸 필요가 있다.

또 시·군·구의회에서도 이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란다. ‘7년 연속 해수욕장 물놀이 무사고’를 달성하기 위해 해상과 육상에서 함께 힘을 모은 지자체, 경찰, 소방, 민간구조단체와 시민 여러분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김용진 울산해양경비안전서장/총경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