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속에서 사라진 합리성
자본주의 속에서 사라진 합리성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5.03.25 2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5개 구·군 가운데 ‘울주군’만이 가지는 이미지라는 게 있다.

처음 울주군을 떠올리면 도시형태의 주거지역과 공단, 농촌, 어촌이 어우러진 독특한 지역이라는 게 강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지역 주민들과 지역에서 진행되는 사업을 마주하면서 느낀 울주군은 거대한 자본이었다.

모든 사업을 추진하는 데 ‘돈’은 필수적이다. 특히 혈세로 집행되는 사업은 그것의 경제성을 충분히 따져 사업의 추진 여부를 결정한 뒤에 걸맞은 비용을 산정하게 된다. 너무도 당연하게 느껴지는 사업의 합리적인 추진 과정이다.

울주군에서 진행되는 일련의 사업들을 지켜보면서 공허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던 것은 이 과정에서의 ‘합리성’을 찾아보기 힘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어떤 의혹이 제기되는 사업에 대해서 취재할 때마다 군은 사업 추진 이유로 “주민들이 원한다”는 허울 좋은 답변을 내놨다. 이런 저런 상황을 따져봤더니 이같은 결정을 할 수밖에 없었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었다.

매년 막대한 예산이 주어지는 원전지원금도 마찬가지다.

최근 울주군 서생면의 A마을이 ‘이벤트 차량’ 때문에 시끄럽다.

처음엔 분명 주민들의 복지, 공공 수익 등 ‘공공’의 목적을 가진 사업이던 것이 지금은 주민들을 갈라놓고 있다.

사업 신청서 한장에 담긴 ‘주민들이 원한다’는 뜻만으로 지원금을 내준 울주군은 아무런 책임이 없다고 할 수 있을지 의문스럽기만 하다.

한 경찰관이 말했다. “그 동네 원래 그렇게 시끄러운 곳입니다. 신경쓰지 마세요.”

처음부터 시끄러운 동네는 없다. A마을도 ‘자율’이라는 명목으로 ‘원전지원금’이 주어지기 전까지는 평온한 마을이지 않았을까.

“작은 마을에서 얼마 안 되는 주민들이 하나 되지 못하고 갈기갈기 찢어져서 서로 헐뜯는 모습이 우린들 좋겠습니까?”

A마을 대표가 한 말이 가슴을 뒤흔든다. 부유 속의 공허함이다.

주성미 취재1부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