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의 성공조건
‘혁신도시’의 성공조건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4.12.17 20: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정 혁신도시에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공공기관들이 이전하기 시작했다. 한국동서발전과 한국석유공사를 비롯한 6개 기관이 이미 이전을 완료했고 에너지관리공단, 에너지경제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도로교통공단 운전면허본부 등 남은 4개 기관도 내년까지 이전을 완료할 것이라고 한다.

우정혁신도시 개발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당초 기대했던 경제적 효과들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우선 그동안 상대적으로 낙후됐던 구도심 지역 100만평을 개발해 혁신도시를 건설함에 따라 도시 전체가 균형적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 지역 건설업체들이 건설공사에 참여함으로써 혁신도시 개발에 투입된 공사비의 상당부분이 지역에 유입된 것도 가시적인 효과라고 할 수 있다. 거기다 이전 공공기관들이 운용하는 자금과 기금이 역내로 유입돼 앞으로 지역 자금사정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공공기관 이전으로 울산의 인구와 고용구조도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전 공공기관들의 임직원 수가 3천142명에 달하는 데다 이들의 가족까지 이주할 경우 앞으로 인구 유입 규모가 2만 5천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고용창출 효과도 서서히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근로복지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석유공사, 한국동서발전 등 5개 기관은 올해 신규 채용에서 평균 5% 정도 지역 인재들을 우대해 채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내년에는 10% 수준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한다.

반면 혁신도시 개발에 따른 문제점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전 공공기관의 가족 동반 이주율이 평균 22%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도 그 중 하나다. 가족 동반 이주율이 이처럼 저조한 데에는 육아와 교육시설의 부족, 쇼핑 및 레저 문화시설의 미비 등이 주된 이유로 꼽힌다. 혁신도시 인근의 부동산 가격이 상승해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전세입자나 월세입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늘고 있는 것도 큰 문제이다. 지자체가 혁신도시 내에 일상생활과 관련된 부대시설을 확충하고, 인근 지역 전월세입자들을 위한 임대주택 건설과 전세자금지원 등 대응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혁신도시는 지역특화산업과 신성장동력산업의 성장 거점으로 기술혁신을 주도하고 지역경제를 지속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건설되고 있다. 또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고 이들을 혁신도시에 정착시키기 위해 추진하는 것이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목표였다. 울산 우정혁신도시도 지역특화산업과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에너지산업 및 연구개발산업을 지정하고 이들 산업의 전략적인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런 목표를 감안할 때 공공기관 이전이 완료된다고 해서 혁신도시 개발이 성공했다고 말할 수는 없다.

이제부터 혁신도시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자체가 모든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혁신도시에 공공기관이 이전했다고 해서 이들이 주도적으로 지역특화산업 및 신성장동력산업을 육성하는 주체가 될 수는 없다. 결국 목표 달성을 위해 이전 공공기관들과 협력하거나, 필요할 때 이들을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지방정부의 몫이다. 그리고 혁신도시의 성공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혁신도시 내에 유관 산업이나 협력업체들을 유치해서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일이다. 미국의 실리콘 밸리나 프랑스의 소피아 앙띠폴리스가 글로벌 혁신도시로서 성공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공공기관의 역할이 아니라, 관련 기업들이 주도적으로 훌륭한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이창형 울산대 교수·수필가>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