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환경을 통한 ‘창조도시 울산’
창조환경을 통한 ‘창조도시 울산’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4.12.14 1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은 지난 1950년대까지만 해도 해안지역은 작은 어촌 마을에 불과했다. 60년대 들어 국가공업지구로 지정되면서 공업 생산기반이 조성됐고 이후부터 지금까지 국가경제발전을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해 오고 있다. 그러나 울산이 비약적인 발전 궤도에 오는 것은 90년대 후반부터다. 도농통합으로 시세(市勢)를 확장하고 광역시로 승격된 1997년이 그 기점이다. 그 이전은 공업화를 통한 산업기지 역할을 한 반면 이 후 환경문제 등 도시의 품격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쪽으로 도시행정이 집중됐다. 그 결과 전국 최고의 생태산업도시를 지향하게 됐고 지금은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이란 3대 주력산업과 융복합된 미래형 산업구조로의 변신을 꾀하고 있다.

울산은 현재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을 발굴, 육성하고 이런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지원정책과 발전방안을 수립하고 있다. 울산발전연구원도 울산이 창조도시로 나아가기 위해선 창조산업 육성 뿐 아니라 이에 필요한 인재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창조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는 것을 여러 차례 밝힌바 있다.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창조도시’로 발전하려면 우선 그에 필요한 인재들이 우리 지역을 선호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이 정주할 수 있도록 도시공간정책 등 부수적인 분야도 연구개발이 일관성 있게 추진돼야 한다.

그동안 울산은 산업성장을 위한 경제정책 수립과 지원에는 적극적이었다. 하지만 대도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한 계획적 주택단지, 다양한 소비, 교육, 문화, 여가, 의료, 교통, 복지 등의 수요를 반영한 도시공간조성을 위한 노력은 다소 부족했다. 넓은 면적의 행정구역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도시서비스는 여전히 중·남구를 중심으로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계획적으로 조성된 주거공간이 부족해 쾌적한 정주환경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 도시의 교통수단이 자동차로 단순화 돼있어 울산 내 지역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정책이 도로기반 확충에만 치우쳐 있다. 그러다보니 각 지역이 자체적인 기능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적지 않다. 이런 창조 공간 부족은 창조인재의 유입과 정착을 어렵게 할 뿐 아니라 광역시로써의 위상확보에도 문제가 된다.

따라서 정보통신기술 등 창조산업을 활성화하고 이에 필요한 인재들을 정착시키려면 우선 그에 합당한 공간이 필수적이다. 다음은 여러 가지 도시서비스 기능이 구축돼야 한다. 예를 들어 남구 테크노산단에 관련 기업과 고급 연구진이 입주해 있다 해도 금융, 의료, 교육기관이 없다면 그 지역은 창조경제지역이 될 수 없다. 또 연구개발·산업생산 기능이 정주기능과 서로 연계돼 있어야 한다. 한 곳에서 모든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주거단지를 조성하고 각 지역들이 쉽게 연결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도시공간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 울산 외곽지역에 있는 언양, 농소, 온양을 부도심 지역으로 개발하는 것이 그 한 예다.

울산은 그동안 도시개발 초기단계의 목적에 충실해 왔다. 그 결과 국가경제발전을 위한 생산기지로서의 역할은 상당부분 성과를 냈다. 공업센터 지정 이후 여러 산업단지의 개발로 울산이 ‘산업수도’로 발전했다.

그러나 ‘창조도시 울산’이 되려면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창조환경이 필요하다. 지금의 도시구도는 ‘산업수도’에 걸맞을지 모른다. 또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게 급선무였던 시절에 적합한 구도였을지 모른다. 반면 창조경제를 구축하는 데는 어울리지 않는다. 숲이 우거진 공간 한 쪽에 연구단지와 고부가가치 생산시설이 있고 다음 블록에 주거지가 있으며 그 옆에 학교와 병원이 있는 그런 공간이 필요하다.

<이주영 울발연 도시공간 연구실 부연구위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