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현실적인 복지체계 반성해야
비현실적인 복지체계 반성해야
  • 주성미 기자
  • 승인 2014.08.13 20: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급 지적장애를 가진 8살 아이가 세상을 떠났다. 여름방학을 맞아 체육학원에서 신나게 친구들과 뛰어논지 불과 몇시간만에 벌어진 일이다.

에어바운스 안에서의 2시간여. 단순히 사고라고 생각할 수 있고 미처 발견하지 못한 어른의 개인을 탓할 수도 있다.

하지만 취재를 시작하면서 장애를 가진 아이들에게 우리 사회는 어떤 모습인지 다시금 생각하게 됐다.

“우리 아이들은 평소에 뛰어다닐 곳이 없어요.” 울산장애인학부모회 관계자가 한 말이다. 마음 편이 걷지도 뛰지도 못하는 아이들이 운동부족으로 몸 곳곳이 아프다는 것이다. 그런 아이들이 방학 때만이라도 마음놓고 뛰어 논다는 것은 꿈만 같은 일이라고 했다. 편안하게 새로운 것을 체험도 하고 배우는 것. 그것이 ‘달팽이 학교’의 첫 시작이었다.

호응은 폭발적이었다. 2006년 여름 시교육청으로부터 8천여만원의 예산을 지원 받아 시작했던 프로그램 규모는 그해 겨울 4배로 불어났다.

매회 300여명의 아이들이 참가했고 체험 기관을 확대해달라는 요청이 빗발쳤다.

하지만 그와 반대로 체험 기관은 당초 21곳에서 최근 18곳으로 줄었다.

울산장애인학부모회는 이를 비현실적인 지원금 때문이라고 했다. 실제 울산시의 지원금은 2009년 6천만원에서 2012년 7천만원으로 단 1차례 인상된 이후 그대로다. 지역의 기업들로부터 후원금을 받지만 일정하지 않다.

체험 기관은 장애아동 3명 당 80~90만원의 금액을 받고 아동의 가정으로부터 10만원의 회비를 받아 운영한다. 이 금액에는 체험활동비, 식사비, 교통비 등이 모두 포함돼 있다. 이렇다보니 20일 동안 하루 6시간을 꼬박 아이들과 함께 보내도 월 50만원의 인건비도 받지 못한다는 게 울산장애인학부모회의 설명이다. 아직 장애아동을 위한 시설을 위한 시설조차 제대로 마련하지 못4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이 프로그램은 ‘오아시스’였다고 했다. 우리는 8살 아이를 잃었다. 관리를 소홀히 했던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시키기 전에 우리 사회의 복지 지원 체계를 되돌아보는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

<주성미 취재2부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