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100일…
안전사회 ‘제자리 걸음’
세월호 참사 100일…
안전사회 ‘제자리 걸음’
  • 주성미 기자
  • 승인 2014.07.23 22: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 울산노동자행동, 울산촛불행동 등이 23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세월호 참사 100일을 맞아 기자회견을 열고 제대로 된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정동석 기자

24일은 세월호 참사로 수백명이 희생된 지 100일째 되는 날이다. 294명이 차가운 바다에서 목숨을 잃었고 아직도 10명은 시신조차 수습되지 못하고 실종자로 남아있다.

울산지역 합동분향소는 철거됐지만 곳곳에서는 이들을 추모하는 노란 리본을 볼 수 있다. ‘세월호 참사’가 남긴 ‘안전’이라는 과제는 노란 리본처럼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다.

◇ 대형사고 위험 울산

하루 한번꼴 119 출동

지난 4월 세월호 참사 이후 울산은 잇따른 대형 안전사고로 전국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라는 꼬리표를 달게 됐다.

남구 SK케미칼 질식사고, (주)후성 보일러설비 폭발사고, LS니꼬 울산공장 수증기 폭발, 울산대교 건설현장과 세진중공업 추락사고 등 크고 작은 사고로 인한 사상자도 수십명에 이른다.

23일 울산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4월 16일 세월호 참사 이후부터 최근까지 울산지역 사업장의 출동 건수는 모두 104건이다.

사업장에서만 유해물질 누출, 화재, 폭발, 추락 등 하루 1건 이상 사건사고가 발생한다는 뜻이다.

구체적으로 유해물질 누출은 9건, 공사현장 추락 2건, 근로자 기계끼임 등 사고 27건, 화재·폭발 46건 등이다.

각 사업장이 ‘119’가 아닌 자체 구급대를 이용하거나 사설 응급차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어 실제 사건사고는 더 많다.

울산지역에는 미포국가산업단지 등 유해물질을 다루는 사업장이 밀집해 작은 사고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많은 선박이 드나드는 항만이 있고 고리·월성 등 낡은 원전의 영향권 내에 있어 안심할 수 없는 ‘땅 위의 세월호’라고 불리는 위험한 도시다.

◇ 시민연대 “‘기업하기 좋은

울산’ 좋은말 아냐”

우리 사회는 세월호 이전과 이후로 나뉠 것이라는 말이 있었다. 그만큼 정치권, 중앙정부와 각 지자체, 시민단체 등 사회 구성원 모두가 ‘안전’에 대해 관심을 갖고 변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 100일이 되도록 울산지역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안전불감증’을 지적했지만 바뀐 것은 없다.

5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주)후성 폭발사고에 대해 사업장이 안전상 ‘교체’해야 하는 설비를 고집한 탓이라는 조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다른 안전사고도 사업장이 평소 적극적으로 안전 분야에 투자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울산시민연대는 ‘기업하기 좋은 도시’라는 울산의 슬로건이 결코 좋은 말이 아니라고 했다.

이들은 “안전사고 시 사업주를 대상으로 직접 책임을 묻고 안전 관련 사업의 하도급을 금지하는 등 ‘기업살인법’이 해외에서는 이뤄지고 있다”며 “궁극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전에 대해 소극적인 울산시의 태도도 지적했다. 지난 6·4 지방선거 때 ‘주민들의 사업장 유해물질 알권리 보장을 위한 조례 제정’에 대해 긍정적이던 후보자들도 단체장이 되더니 묵묵부답이라고 했다.

울산시민연대 관계자는 “우리 지역에 어떤 위험이 있는지, 이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지역의 자치단체가 (조례제정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데 중앙정부(환경부) 핑계를 들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돌이킬 수 없는 피해는 울산시민들이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고 지적했다.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는 23일 울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 공공안전 대책 마련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 이들은 24일 오후 6시 30분 남구 삼산동 롯데백화점 앞에서 촛불집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주성미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