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혁신도시>첨단지식 기반 산업도시 재도약 기틀 마련
<울산혁신도시>첨단지식 기반 산업도시 재도약 기틀 마련
  • 하주화 기자
  • 승인 2007.12.31 18: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학연 클러스터 중심의 친환경 에너지 절약도시 구축
1조1천11억원 투입, 생산·부가가치 고용유발 효과 기대
한국가스공사 등 11개 공공기관 이전 ‘첨단 명품도시로’
울산지역의 신성장 동력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혁신도시(울산그린벨리Ulsan Green Valley)가 지난해 12월 26일 역사적인 첫삽을 뜨고 본격 건설에 들어갔다.

중구 우정동 일원에 조성되는 혁신도시에 한국가스공사 등 첨단 에너지, 노동복지, 안전산업관련 11개 공공기관이 이전함에 따라 울산지역은 기존 자동차·정밀화학 등 지역 전략산업에 에너지산업을 추가하고 동남권 첨단산업의 메카로 부상할 전망이다.

특히 이들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경제 파급 효과는 물론, 친환경 명품 도시 조성을 통한 첨단도시 인프라 구축도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울산시는 혁신도시에 이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산·학·연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경관중심의 ‘그린에너지 폴리스’ 를 구축해 지역 랜드마크로 개발 한다는 구상이다.

울산 혁신도시는 중구 우정동 함월산 자락 279만7천67㎡ 부지에 건설되며 오는 2012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등 11개 이전 기관<표-1>과 관련기업 및 연구기관 종사자를 포함해, 공동주택 주택 5천146가구, 단독주택 1천346가구등 총 6천857가구 및 인구 1만9천여명을 수용하게 된다. 학교는 현재 개설이 진행 중인 곳 외에 유치원 2개, 초등 2개, 중등 3개 고등 1개교 등이 신설된다.

혁신도시 부지는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다가 지난 2003년 말 해제, 2005년 5월 택지계발예정지구로 지정됐으며 같은해 12월 양호한 교육·산업·교통 접근성이 인정돼 혁신도시 입지로 선정됐다. 이어 지난해 5월 개발계획과 9월 실시계획 승인을 끝내고 착공에 들어가게 됐다.

다른 지역과 달리 혁신도시가 택지개발 예정지구 안에 포함된 울산은 상업·주거시설은 물론 이전 기관과 관련기업, 연구기관 등과의 연계를 통해 첨단지식기반 산업도시로 재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됐다.

시는 함월산 자락에 동서로 입지하는 특성을 고려해 혁신 중심기능을 수행할 이전공공기관과 산학연 클러스터 상업기능을 지구 중심에 두고 주거기능은 좌우로 배치해 기업·연구소의 업무 기능 및 다양한 교류기능이 조기에 활성화 되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지역전략산업과 연계된 관련기관과 기업을 우선적으로 유치해 혁신도시 성장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토지개발이 차질 없이 추진될 경우 오는 2012년부터 이전기관이 입주하며 2020년까지는 상가, 아파트 등 상업·주거시설 개발이 완료돼 지역경제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전망이다.

혁신도시의 기본 개발 방향은 경관중심 ‘그린에너지 폴리스’다.

지역 경관의 중심축에 위치한 지구 특성을 반영해 에너지절약형 환경친화형도시를 창출한다는 것.

에너지 도시에 걸맞게 공공기관 건물에는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해 친환경적이고 생태적인 솔라시티로 조성되며 지구 내에 열병합 발전 시설을 구축해 전체 혁신도시에 집단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열병합 발전 시설에 대해서는 경동도시가스, 한전, 동서발전 등이 협의를 진행중이다.

동서를 횡단하는 중앙도로에 녹지축을 형성해 지역주민 교류의 장을 형성하고 함원산, 수변공간 등과 조화를 이루는 경관도 제공한다.

지구중심에는 연장 7km의 ‘녹색 가로수길’을 조성해 시민의 보행과 산책, 자전거도로 등 휴양공간으로 제공하고 권역별 테마가 있는 공원이 들어서고 혁신도시내 유곡천, 약사천 등 7개 사천은 친환경 생태한천으로 탈바꿈한다.

이와함께 첨단 IT산업과 교통정보기술이 융합된 미래형 첨단도시로 조성된다.

도시전체가 실시간으로 교통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첨단 교통시스템을 구축하는 U-City(유비쿼터스 도시)로 계획해 주민들이 행정, 환경, 방재·치안, 시설관리 등 각종 서비스와 생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안정성 접근성 편리성을 갖춘 가족친화적 무장애(Barrier Free) 설계개념과 범죄예방기법(CPTED)도 도입해 범죄 없고 안전한 도시로 거듭난다.

혁신도시 기반조성에는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공사가 6천300억원을 투입하게 된다. 또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사옥건축 등에 민간투자비를 포함하면 총1조1천11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울산혁신도시는 지역혁신역량제고, 산업클러스터 형성촉진과 고용증대, 생산유발 등 다양한 지역발전 파급효과가 예상되고 있다.

시는 오는 2012년 혁신도시가 완공된 이후 매년 9천120억원의 직·간접 생산유발과 4천202억원의 부가가치 유발, 4천927명의 고용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조성과정에서 지역건설업체의 시공참여가 보장돼 지역건설경기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가장먼저 착공하는 1공구(194억원)에 지역건설업체인 한길종합건설(주)이 지분율 30%로 삼성중공업(주)와 함께 공동으로 참여하게 되며, 나머지 공구도 지역건설업체 참여가 예상된다.

또 정부에서 지원예정인 도로 등 기반시설공사, 아파트·상가 건축 민간투자까지 감안하면 파급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토지보상에 난항을 거듭해온 울산 혁신도시는 수용지구 주민대책위와의 원활한 협의보상문제가 남아있다.

울산 혁신도시 기공은 전국 10개 혁신도시 중 제주, 경북 김천, 경남 진주, 광주 전남 혁신도시에 이어 다섯 번째다.

당초 전국 혁신도시 가운데 가장 빠른 9월 착공을 계획했던 울산혁신도시는 예정지구 내 원유곡, 장현, 약사 마을 등 주민들이 ‘보상가가 낮다’며 반발해 착공이 늦춰지게 됐다.

그러나 협의 보상이 아직 절반수준인 52.4% 밖에 이뤄지지 않은데다 지역 주민들은 보상가가 낮다며 반발하고 있어 앞으로 사업 추진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낮은 보상률과 갈수록 보상이 더뎌지는 가운데 개최된 이번 기공식을 놓고 전문가들은 차기 정부가 혁신도시의 정책에 대해 옴짝달싹하지 못하도록 대못질하는 것이라는 비판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와함께 보상금 부담, 성공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다.

시 관계자는 “ 원활할 사업추진을 위해 내년 초 강제수용절차에 들어갈 것을 고려하고 있다”며 “울산혁신도시는 다른 지방과 달리 택지개발예정지구 안에 포함돼 있기 때문에 개발추진에 별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해당지주들의 반발이 거셀 경우 물리적 충돌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으로 혁신도시의 성공적인 안착의 최대 관건은 지역발전은 물론 지역민과의 신뢰에 바탕을 둔 개발계획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하주화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