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끈, 골든타임
생명의 끈, 골든타임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4.05.22 2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9일 세월호 참사에 따른 대국민 담화에서 “국민의 안전과 재난을 관리하는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다”며 국민에게 사과했다. 신속하고 일사불란한 대응을 하지 못한 컨트롤타워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음을 인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안전처’를 만들어 모든 유형의 재난에 현장 중심 대응의 체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특히 첨단 장비와 고도의 기술로 무장된 ‘특수기동구조대’를 만들어 ‘골든타임(golden times)’의 위기 대응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겠다고 약속했다.

2001년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발생한 9·11 테러 당시, 아수라장이 된 사고현장을 지휘하던 우두머리는 행정부 수장이 아닌 관할 소방서장이었다. 또 2009년 뉴욕 허드슨 강에 승객 150여명을 태운 여객기가 불시착했을 때도 현장의 최고 책임자는 뉴욕 항만청장이었다. 그 지역 상황을 가장 잘 아는 사람에게 신속한 초기대응을 맡겨야만 인명을 최대한 구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이른바 골든타임을 고려했을 때, 인명 구조가 가장 우선이라는 매뉴얼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었던 것이다.

요즘 골든타임이 세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근래 자주 쓰이는 용법대로라면 ‘응급 상황에서 구조 가능성과 생존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 정도로 풀이된다.

골든타임은 우리 생활 어디에나 있다. 항공기 비상상황에는 ‘90초 룰’이 있고, 화재 현장은 ‘5분 남짓’이 가장 중요하다. 수면시간도 오후 11시에서 다음날 새벽 3시까지를 골든타임으로 친다. 이 시간이 포함돼야 숙면을 취할 수 있다고 한다.

얼마 전 심근경색으로 쓰러진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급박한 순간을 잘 넘긴 것도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은 결과라는 보도가 있었다. 심근경색은 치명적일 수 있어 골든타임에 얼마나 신속한 치료를 받느냐가 관건이라고 한다. 이 회장의 주치 의료기관은 삼성서울병원이지만 자택에서 5분 거리에 있는 순천향대학병원으로 긴급 이송됐기에 회생했다는게 의료인들의 견해다.

그러나 이 회장의 경우와 달리 우리 사회에서는 골든타임이 무시되는 사례가 많다. 세월호 참사의 경우 배가 침몰하는 긴박한 상황에서 선원들은 물론이고 관계 당국과 해당 기관의 구조활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무수한 생명을 잃었다. 골든타임을 놓쳤기 때문이다. 구조 요청부터 침몰까지 2시간여 동안 우왕좌왕했던 해양경찰은 침몰 당시 바다로 뛰어내린 승객들 외에 선내에 갇힌 승객들은 단 한명도 구조하지 못했다.

배가 침몰한 뒤 생존자 구조의 한계 시간은 72시간. 해경은 이 또한 늑장을 부려 인명피해를 키웠다. 3천개가 넘는다는 재난대응 매뉴얼 곳곳에는 사고 때 골든타임을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에서는 이런 매뉴얼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2000년 4월 잠실운동장에서 프로야구 경기 도중 심장 부정맥으로 쓰러진 임수혁 롯데자이언츠 선수는 현장에서 적절한 조치를 받지 못해 곧바로 뇌사상태에 빠졌고 10년만에 숨을 거두었다. 2007년 12월 세계타이틀 방어전 직후 뇌출혈로 쓰러진 프로복서 최요삼도 결국 세상을 떠났다. 두 선수의 사고 이후에야 각종 경기장에는 안전관리시스템이 강화됐다. ‘사후약방문’이었던 셈이다.

현재 한국의 재난관리체계에는 빨간불이 켜져 있다. 대통령의 담화를 계기로 대한민국은 늦은 감은 있더라도 국민의 생명이 최우선시 되는 새로운 국가로 거듭나야 한다. 골든타임의 중요성이 뼈아프게 와 닿는 오늘, “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는 극작가 버나드 쇼의 묘비명이 필자의 가슴을 울린다.

<김부조 시인·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