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업기술박물관은 ‘울산의 것’이 아니다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은 ‘울산의 것’이 아니다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4.03.06 2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년 전 문화도시울산포럼 김종수 고문이 울산을 짊어지고 나갈 젊은이로서 꼭 알아야 할 것이 있다면서 밤늦은 시각까지 붙잡고 장황하게 설명을 했다. ‘산업도시로 수십년 동안 우리나라를 먹여살려온 울산에 산업박물관이 없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 미국 독일 등 선진국은 100년 전에 이미 산업박물관을 지어놓고 나라를 일으킨 산업역사를 후손에 알리며 유물을 보존하는데 우리나라는 전부 고철로 폐기하고 그 흔적을 글이나 사진으로조차도 남기지 않고 있다. 심각하고 부끄러운 일이다’ 그러면서 25년 전부터 상공계를 중심으로 틈날 때 마다 역설해온 주제가 산업역사박물관 건립의 필요성이었음을 자세하게 알려줬다.

2011년 말 정부쪽에서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의 건립필요성이 나왔을 때 그동안 따끈한 얘기로 정신적 무장이 돼 있던 터라 필자는 25년동안 박물관 건립을 위해 노력해온 울산의 주장을 강력하게 제시해야겠다는 사명감을 본능적으로 갖게 됐다. 시청에서 포럼이 주관한 ‘르네상스울산’ 주제토론에서 ‘정부가 국립산업기술박물관 서울용산건립 설명회 가져’ 라는 제일일보 1면 기사를 인용하며 25년 노력을 도난당할 수도 있다는 심각성을 공개적으로 발표했다. 그날 밤 속성으로 페이스북에 개설한 ‘산업기술박물관 울산유치본부(울산이여 깃발을 들어라)’가 일주일만에 3천명의 회원을 확보하면서 이 문제는 가히 폭발적인 이슈가 됐다.

박맹우 시장의 적극적인 격려와 지휘로 범시민운동본부가 출범했고 청년국토종단 자전거원정대 출정, 30만 서명운동에 돌입하는 등 상공, 행정계, 교육 정치권까지 유치운동이 확산돼 2012년 총선 공약, 12월 대선공약에까지 등재되면서 지지세가 급물살을 탔다. 산업수도 울산의 중요성과 역사적 가치를 정확히 인지한 박근혜 대통령의 1호지역공약이 마침내 결실을 이루어 1조원 규모의 국립산업기술박문관 울산건립이 확정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울산이 한반도 동남쪽 끝자락에 있는 지방이라 방문객이 많지 않을 테니 서울을 염두에 둔 예산규모는 맞지 않다며 축소를 암시하는 정부 측 설명과 연구용역이 시행되고 있다. 이미 2000년도에 울산시가 국제박물관협의회에 의뢰해 연구한 자료에 의하면 박물관 기능을 넘어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 할 경우 연간 300만명이 방문할 것이며 건립예산을 3천억 규모로 보고하고 있다. 그런데 13년이 지난 현재 정부가 연간 방문객 80만명 정도를 예상한다고 하니 얼토당토않은 수치를 내세우는 저의를 의심할 수밖에 없고 다시 말하면 방문객 80만명을 목표로 한 박물관을 짓겠다는 뜻이 된다. 결국 작은 목표를 세워 적은 예산으로 분관 수준으로 작게 만들어 구색 갖추기로 입막음 하고 향후 잠잠해 지면 수도권에 본관을 세우겠다는 의도가 아닌가 여겨진다. 상상해보라 “1천억 들인 울산산업기술박물관, 하루 방문객 50명 미만, 국비 낭비 심각” 이라는 제목의 신문기사가 머리글을 장식한다면 누구의 책임일까?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은 세계속의 대한민국 산업의 과거와 미래 그리고 현주소를 보여주는 국가적 자존심이며 우리나라를 찾는 수많은 세계인들, 조국을 짊어질 모든 젊은이와 후손에게 시공간을 초월해 길이길이 전해줄 국보급 국가시설을 건설하자는 것이다.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은 이제 더 이상 ‘울산의 것’이 아니다. 대한민국의 것이다. 단지 울산은 대한민국 산업수도이며 50년 조국근대화의 역사적 보고이자 미래 100년을 향한 국가산업을 이끌어 갈 메카이므로 그곳에 대한민국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을 건립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점을 정확히 인지해야 한다.

<강종진 국립산업기술박물관건립위 시민사회위원장>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