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more Fukushima!
No more Fukushima!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3.03.07 21: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 날이다. 방송을 통해 보았던 현장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하다. 쓰나미에 밀려 산으로 가는 큰 배와 사라진 마을, 원전 건물 붕괴와 탈출하는 주민들…. 태어나서 처음 보는 대재앙이었다. 오래도록 잊혀지지 않는 공포였다.

2년 뒤 후쿠시마가 다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언론들은 앞다퉈 현지 사정을 전하고 있다. 그 가운데 후쿠시마 원전 폐쇄 작업이 2050년이 되어야 가능하다는 기사가 있다. 지금의 기술수준으로 방사능을 바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방사능에 노출된 주민들의 건강도 큰 걱정이란다. 국민들은 일상적인 지진공포에 시달리고 방사능으로 인한 먹거리도 문제다. 2년이 지났지만 재앙은 아직도 진행형이라는 말이다.

악몽이지만 2년 전 후쿠시마가 없었다면 우리는 아직도 원전의 실체를 몰랐거나 알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막연히 핵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었을 뿐이었다. 그만큼 후쿠시마는 우리의 원전에 대한 인식을 깨뜨린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그동안 방사능이란 것을 병원에서 X-Ray 찍을 때만 확인했던 것도 사실이다. 정부도 원전이야말로 ‘친환경에너지’라고 늘 자랑해 왔다. 그리고 이른바 핵마피아라 불리는 전문가들은 끊임없이 말했다. “원전은 경제적이고 우리나라 원전은 가장 안전하다.” 2011년 원전 사고 당시 일본은 가장 선진적인 자본주의 국가였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그런 엄청난 일을 당하고도 일본은 탈핵을 선언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도 고리원전의 수명을 연장하고 원전 수출을 주도한다는 꿈을 버리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도 기존 원전 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원전을 유지하면서 안전을 최우선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2년 동안 우리나라의 원전은 크고 작은 사고가 잇따라 불신을 자초했다. 고리원전 정전과 은폐, 납품비리와 품질서류 위조, 냉각수 누출 등 한둘이 아니다. 원전 사고는 천재지변이 아니라 인재(人災)를 두려워 해야 할 정도였다.

원전 관련 내용은 복잡하고 상당히 전문적이다. 밖에서 원전 속을 파악하기란 웬만해서는 어렵다. 그러다보니 언론도 정확한 기사를 전하지 못할 때가 많다. 왜곡과 은폐가 반복되는 이유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하인리히 법칙이라고 있다. ‘1대 29대 300의 법칙’이라고 알려진 법칙이다.

이를테면 심각한 안전사고가 1건이 일어나기 전에 같은 원인의 작은 사고가 29건 정도가 이미 발생한다는 것이다. 위험에 노출되는 경험이 300건 정도는 이전에 존재했다는 것이다. 우리가 살면서 경험하는 사고가 갑자기 오는 것이 아니라 대형사고 발생 전에 반드시 수많은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는 말이다. 사소한 사고나 그 징후들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작은 사고를 수습하다 관성에 젖으면 다음에 올 큰 재난을 대비하지 못한다. 그러나 사전에 발생하는 작은 징후들을 미리 파악한다면 대비책을 철저히 세워야 한다. 다가올 대형사고를 막을 수 있다는 논리다.

후쿠시마 사고 2년을 되돌아 보자. 명품원전을 자랑할 게 아니라 안전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원전은 안전운영이 최우선이다. 고장이 발생하면 은폐하거나 재가동을 서두르지 말고 재발을 막아야 한다. 내부의 비리와 부정부패 고리를 원천 차단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원전에 대한 국민의 불신은 커지고 국민안전도 사라진다. 안전이 담보되지 않는 원전은 없애는 게 낫다. 안전보다 중요한 성장은 있을 수 없다.

인간의 탐욕은 끝이 없다. 거기에다 우리는 과학 기술을 과신하고 있다. 후쿠시마를 다시 생각하자.

<김잠출 국장/선임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