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지수 낮은 여성가족정책… 여성계·울산시 공동노력 필요
체감지수 낮은 여성가족정책… 여성계·울산시 공동노력 필요
  • 양희은 기자
  • 승인 2013.01.03 21: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여성가족 친화정책이 도시균형 발전 이끈다
(下)지역 여성에게 듣는다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지역성평등지수에서 울산시가 낮은 점수를 받게 된 것은 각 영역 상당수의 지표가 경제활동참가율과 관련돼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육아휴직사용성비나 공적연금 가입자 성비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에 따라 크게 차이나는 지표다.

그러나 그 외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도 성비, 강력범죄피해자 성비, 기초생활보장자 성비 등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데 대한 대책은 요구된다.

여성정책에서 가정과 안전한 삶, 복지 영역에서의 관심이 더욱 요구되는 가운데 지역 각계각층 여성들은 어떤 정책을 원하고 있는지, 울산시가 추진하는 여성가족 정책 및 과제를 지역 여성들은 얼마나 알고 있는지 들어본다.

대학 졸업반 여대생 고은아(24·가명)씨는 아직까지 여성정책이라는 단어가 생소하다. 아직까지 여성이라는 지위보다 학생이라는 이름이 더 어울린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현재 관심은 졸업 후 거취 문제 뿐이다. 친구들이 하나둘 취업 하면서 마음은 더욱 무겁다. 하지만 친구들이 취업한 곳도 비정규직이거나 서비스직이 대부분이다. 울산에서 직장을 구하고 싶지만 마땅한 일자리가 없어 고민은 더하다.

고씨는 “부모님과 함께 있을 수 있는 울산에서 직장을 구하고 싶지만 직업 선택권이 너무 좁다”며 “여성들이 일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를 소개해 주는 자리가 자주 마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30대 미혼의 최가윤(32·가명)씨는 울산시 여성복지정책 다수를 알고 있지만, 정작 자신에게 돌아오는 혜택은 크지 않다고 생각한다. 여성복지정책의 대부분이 기혼과 자녀가 있는 여성에 맞춰져 있어 자신에게 와닿는 정책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취약계층에 지원되는 혜택도, 가족 단위에 주어지는 혜택도 그에게는 돌아오지 않는다. 울산시 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도 미혼의 여성에게는 무용지물이란 생각이다.

최씨는 “아직까지 결혼할 생각이 없어 가족정책에도 큰 관심이 없다”며 “울산시에서 경력단절여성이나 여성 취업을 위해서 노력하는 것은 알고 있지만 정작 경제활동을 하는 미혼 여성을 위한 정책은 없는 것 같아 아쉽다”고 밝혔다.

40대 직장인 김종순(44·가명)씨는 전업주부로 생활하다 얼마 전 금융서비스업에 발을 들였다.

김씨는 울산여성회관에서 개설한 컴퓨터실무교육과정을 들었다. 틈틈이 지역에서 열리는 교양강좌나 문화센터 프로그램을 접한 덕분에 직장생활에서도 잘 적응하고 있다.

김씨는 “신랑이 지역 대기업에 다녀 경제적으로 큰 부담없이 생활해 왔지만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싶었다”며 “관심을 갖고 여성회관이나 여성인력개발센터 프로그램을 찾아보면 공부할 수 있는 것도 많고 취업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60대 이기순(63·가명)씨는 자식을 모두 출가시키고 부부 둘만 살고 있다. 이제는 자신만의 삶을 살고 싶지만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터라 여유가 없다. 친구들은 손주들을 키우느라 바쁘다. 고령화로 인해 경로당이나 노인복지관을 찾기에도 아직은 나이가 많지 않다.

이씨는 “경제적 부담이 되지 않는 선에서 우리 나이대 여성에 맞는 프로그램이 절실하다”며 “세대별 맞춤 여성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울산시 여성복지예산의 1인당 수혜금액이 다른 광역시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역 여성들이 느끼는 체감 혜택은 다소 낮았다.

지역여성계는 울산시가 추진하는 여성가족정책은 많지만 구심점 역할을 하고, 컨설팅과 정책개발을 할 수 있는 별도의 기관이 없다고 꾸준히 지적해 왔다.

(사)의회를사랑하는사람들 울산지부 심영숙 사무국장은 “최근 울산시가 성인지정책 도입 등을 통해 여성정책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정작 여성들의 체감지수가 낮은 것은 문제”라며 “공무원이나 몇몇의 연구원이 아닌 전문기관을 중심으로 여성정책을 연구하고 평가해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여성친화정책은 단순히 여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여성과 함께 온 가족이 행복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며 “성평등 수준을 높이기 위해 지역여성계와 울산시가 공동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희은 기자 yang@ujeil.com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