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도마에 오른 유독물 사고 대응책
국감 도마에 오른 유독물 사고 대응책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2.10.22 21: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슷한 사고를 당했는데도 독일과 우리가 대처하는 방식, 사후처리가 이렇게 다를 수 있는가. 지난 15일 독일에서도 유독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하지만 독일은 당국의 신속한 대응으로 사상자가 1명도 나오지 않았다. 사고 수습도 하루 만에 끝났다. 5명이 사망하고 수습 27일째를 맞는 구미 불산 누출사고와 비교할 때 하늘과 땅 차이다. 이런 사실은 울산이라고 해서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사고 직후 독일 소방당국이 보인 자세는 매우 유연했다. 방독면과 보호복을 착용한 화학사고 전문가와 소방관 등 1천명을 즉각 현장에 투입했다. 구미에선 일부만 마스크와 방독면을 착용한 채 경찰관 및 소방관 350여명이 사고 현장에 들어갔다. 전문가는 8시간 뒤에 투입됐다. 독일 소방관들은 1인당 작업시간도 최대 20분으로 제한하고 교대로 투입됐다. 유독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우리는 사고 발생 이튿날까지 소방관과 경찰이 현장에서 출입을 통제하고 뒤치다꺼리를 했다. 그 결과 250여명이 기침·발진으로 치료를 받았다.

사고 후 대민(對民)처리도 우리와 딴 판이다. 독일 소방당국은 사고 발생 직후 공장 인근 주민 800여명을 긴급 대피시켰다. 또 공장 탱크 폭발로 유독가스가 퍼질 것에 대비해 위험지역을 반경 500m로 확대하고 주민 1천여명을 더 대피시켰다. 구미시가 사고 초반 맹독성 여부를 제대로 몰라 우왕좌왕하다가 사고 다음날 대피했던 주민들까지 다시 복귀시킨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차이다.

선진국이 달리 선진국이 아니다. 선진국은 인명을 중시하는 방재 시스템부터 완벽하게 갖춰져 있다. 울산도 마찬가지다. 개인당 생산총액이 국내 1위이고 근로자 연평균 소득이 4만 달러에 이르는 도시다. 하지만 우리가 1984년에 있었던 인도 보팔 참사 같은 재앙을 당하면 누가 선진도시라 하겠는가.

지난 19일 실시된 울산시 국정감사에서 울산시 유독물사고 대응책이 도마에 올랐다. 국회의원들은 한결같이 울산시의 위험성을 지적하며 각종 대응책 마련을 요구하거나 미비점을 질타했다. 하지만 이런 지적과 질타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석유화학공단에서 폭발·화재사고가 발생하면 으레 터져 나왔던 말이다. 그러니 이제 생각과 말을 행동에 옮길 차례다. 손쉬운 대로 위험물질 누출·폭발·화재에 대비해 관련 업체들과 관할 소방서, 지역 주민들이 모의 훈련 정도는 실시해야 할 것이다. 구미사고처럼 우왕좌왕하는 일만 없어도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