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치
멸치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08.04.27 20: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선 순조때 김려가 쓴 ‘우해이어보’에는 멸치를 ‘멸아’라고 기록했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는 ‘멸어’로 돼 있고 한자로는 ‘추어’라 한다.

벚꽃이 지고 난 이즈음 울산 정자 앞바다, 경주 양북, 양남 해안, 부산 기장 대변 쪽에는 멸치가 무리 지어 근해로 몰려든다. 싱싱한 멸치회 한 접시에다 소주 한잔 걸치는 맛에 ‘회꾼’들은 4월 바닷 나들이가 즐겁다.

뼈를 발라 낸 큼직한 멸치 살에 미나리, 쑥갓, 양파, 쪽파, 고추를 듬뿍 넣고 초고추장으로 버무린 멸치회 무침 한 젓가락을 입에 넣고 씹으면 혀끝에 녹아드는 싱싱한 육질 감은 값비싼 광어, 한우 쇠고기에 비할 바 아니다.

멸치는 성질이 급해 잡자마자 바로 죽어 버리기 때문에 갓 잡은 멸치회를 맛보기 위해선 배가 드나드는 포구로 직접 가야한다. 동남해안 출신인들은 멸치회를 잘 알고 즐기지만 내륙지방, 서울지역 사람들이 멸치 회를 잘 모르는 이유는 멸치의 ‘단명’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겨울 김장철에 멸치젓을 주로 사용하는 곳이 경주, 포항, 울산, 부산 등 동해남부 해안 지역인 것은 이 쪽이 멸치의 원산지인 탓이다.

멸치젓과 달리 멸치는 지역, 시대를 초월한 서민 식품이다. 된장찌개, 국수 등 각종 국물 맛을 내는데는 필수적이고 밑반찬으로 만들어 장기간 보관하는데는 멸치 보다 좋은 것이 별로 없다.

특히 지난 70, 80년대 학생 도시락 반찬 단골 메뉴는 멸치 볶음이었다. 김치를 도시락 반찬으로 넣으면 국물이 흘러 책, 가방을 버리는 수가 많았지만 멸치 볶음은 국물이 없어 간편했다.

하지만 매일 도시락에 같은 반찬이 들어 있어 질리게 했고 먹기도 보기도 싫었던 기억들이 남아 있다. 또 군것질거리가 드물었던 그 때는 별다르게 먹을거리가 없어 멸치를 한 움큼씩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먹곤 했었는데 이제야 보니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대단한 칼슘보충을 했음을 알게 돼 쓴웃음을 짓게 만든다.

인공 조미료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전인 60년대 초반 우리나라 최상품 멸치는 경주 양남, 양북 앞바다, 울산 방어진, 기장 대변 등에서 잡힌 것들이었다.

잡은 멸치를 바닷가 모래사장 멍석 위에 펼쳐 놓고 하루 종일 햇볕에 말렸었다. 군것질 거리가 따로 없었던 동네 꼬마들이 지나가면서 슬쩍 한 줌 씩 멸치를 쥐고 가도 주인은 모른 체 해줬다. 멸치가 그 만큼 흔하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인심이 넉넉했다는 증거다.

세월이 지나면 사람도 바뀌고 살아가는 사정도 달라지는가.

지금 울산 정자항, 기장 대변항에 가면 멸치 축제가 한창이다. 말끔하게 정리된 해변가 횟집, 잘 갖춰진 위생시설, 친절한 호객꾼들. 그러나 ‘추억의 멸치’를 찾아오는 사람들은 항구로 들어가는 초입에서부터 질리게 된다.

밀려든 차량들로 인해 반쯤 지쳐서 멸치 횟집에 들어가면 또 한번 놀랠 일이 있다. 풋풋했던 옛날 인심만 생각하고 찾아 온 손님들에게 얄팍한 상혼이 바가지를 씌우기 일수다. 턱없이 비싼 가격도 가격이려니와 한 접시 담은 회 속에 멸치가 몇 마리 들어 있는지 세어 볼 정도라면 도가 지나친 셈이다.

미나리, 양파, 쑥갓만 가득한 회를 바라보노라면 ‘붕어빵에 붕어 들어 있나’라는 우스개 소리가 생각난다.

멸치를 가득 넣어 회 맛을 돋군 70대 할머니가 한 말이 생각난다. “요즘 것들은 돈 맛 밖에 모른다”는 그 할머니 가게는 잘 정돈된 것 같지도 않았고 위생시설도 그다지 출중치 않았지만 ‘멸치회꾼’들이 즐겨 찾는 이유를 어렴풋이 나마 알게 해주는 곳이었다. / 정종식 논설위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