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이름을 ‘입암’ 아닌 ‘선바위’로
공원이름을 ‘입암’ 아닌 ‘선바위’로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09.08.02 2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 12경’ 가운데 하나인 울주군 범서읍 구영리 ‘선바위’ 일원에 꾸며질 공원의 공식 이름은 유감스럽게도 ‘입암공원’이다. 사업 초기부터 2015년 완공 때까지 사용될 임시 이름이라지만, 문제 제기가 없다면 그대로 고유명사로 굳어버릴 게 분명하다.

사설과 칼럼으로 선바위 일원의 정비를 줄기차게 촉구했던 울산제일일보는 울산시의 발표에 때맞추어 6월 초 ‘늦은 감이 없지 않은 입암공원 조성’이란 제목의 사설을 싣고 격려를 보냈다. <선바위 주변 경관이 정비돼 울산의 새로운 명소로 탈바꿈된다고 한다. 가칭 ‘입암공원’ 일원에 4가지 테마 공간을 꾸며 선바위 부근을 풍류와 멋이 어우러지는 공원으로 가꾼다는 계획이다. …>

‘옛 풍류가 되살아나고 멋이 넘치는 공간!’ 가슴 설레는 구상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공원 이름을 굳이 ‘입암(立岩)’으로 포장한 데는 할 말이 있다. 인터넷에 ‘입암’이란 한자 이름은 ‘선바위’란 순 우리말 이름과 함께 전국 곳곳에 널려 있다. 그 뜻은 ‘우뚝 선 바위’ 즉 ‘선바위’의 한자식 이름에 지나지 않는다. 한데도, 울산시의 공식 명칭에서 ‘선바위’는 ‘입암’의 뒷전으로 밀려나고 만다. 그 이유는?

필시 옛 유학자들의 한문(漢文) 숭상 태도, 지금 공무원들의 권위의식 또는 정서지수(情緖指數)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참고로, 울주군 출신 강길부 의원이 펴낸 <땅이름 울산사랑>의 <범서읍 입암리> 편에 ‘입암’이라 부른 시기는 조선조 정조 때다. 그 무렵 일반 백성들은 그냥 편하게 ‘선바위’라 불렀을 터이지만 공식 명칭에선 후순위로 밀려난다. 공원 이름을 순 우리말을 붙여 ‘선바위공원’이라 했다면 훨씬 더 운치 있고 멋있을 것 아닌가!

‘선바위’에 집착하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우선 ‘입암’은 발음이 어렵다. 첫 글자의 비읍(ㅂ) 받침이 시각적인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또 ‘입암(立岩)’이란 말에는 선사시대 제의(際儀)의 산물인 ‘선돌(立石)’이란 뜻도 있다. 하지만, 구영리 태화강물 속의 임압은 엄연히 선돌이 아닌 선바위다. 또 그 이미지는 선돌(立石)이 아니라 차라리 남근석(男根石)에 가깝다.

땅이름, ‘곳(所)이름’을 순 우리말로 지어 주목받는 예는 적지 않다. APEC 정상회의 장소였던 부산 해운대 동백섬 자락의 명소 이름 ‘누리마루’가 그 본보기다. 꽃 축제가 열리는 경기도 고양시는 그보다 한 수 위다. (재)고양문화재단이 순수한 우리말을 섞어 지은 ‘곳 이름’들은 실로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두 군데 공연·전시 공간의 이름은 ‘아람누리’와 ‘어울림누리’다. 아람누리 안에는 디지털실험극장 ‘새라새극장’과 오페라하우스 ‘아람극장’을 비롯해 ‘아람음악당’, ‘아람마슬’(=아람마을), ‘아람미술관’, ‘아람누리갤러리’에 ‘노루목야외극장’까지 있다. 어울림누리 안에는 ‘어울림극장’과 ‘별모래극장’이 있고 “꽃매야외극장’도 있다. 순수하고 아름다운 우리말 이름 천지다.

그런 노력은 다른 도시에도 번져 간다. 얼마 전 서울 서초구에서는 ‘우리말 바로잡기 사업’을 시작했다. 시인, 전직 교사, 문학 전공자나 경력자 30여명으로 구성된 ‘우리말 지킴이’들이 공공시설에서 잘못된 우리말 표현을 골라내 바르게 쓰기 권유에 나선 것.

고양시를 꽃보다 더 아름답게 만든 공(功)은, 참으로 우리말을 아끼고 가다듬으려는 몇몇 뜻 있는 이들에게 먼저 돌려야 할 것이다. 차제에, ‘생태문화도시’를 대내외에 널리 알려 도시 이미지와 도시 브랜드를 높이려는 울산시가 아름다운 우리말 쓰기에도 눈길을 돌리면 어떨까? 지금이라도 결코 늦지 않다. 그 실천의 하나로 ‘입암공원’을 ‘선바위공원’으로 바꾸어 부르는 일부터 시작해 보기를 권유한다.

/ 김정주 편집위원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