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수돗물 음용률을 높이는 방안
울산의 수돗물 음용률을 높이는 방안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22.11.30 22: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돗물은 중요한 공공자산으로 지자체마다 많은 예산을 들여 수도시설을 건설·운영하고 있다. 울산에도 정수장 2개소에 총 3천534㎞의 상수관로가 매설되어 시민들의 안전한 수돗물 음용(飮用)을 책임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인천 서구를 비롯한 일부 지방에서 적수(赤水=붉은 수돗물) 사태가 빚어지고 전국 정수장 27곳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되어 심각한 수돗물 불신 시대를 맞고 있다. 특히 울산은 지난 11월 2일 천상계통 송수관 누수로 중구와 북구 일대 수도에서 흐린 물이 섞여 나와 시민들이 불편을 겪은 적이 있다.

최근 언론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수돗물 직접 음용률은 5%에 불과하다. 그러나 유럽연합(EU) 국가 평균은 74%,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은 51%라고 하니 수돗물 음용률 확대가 절실한 시점이다. 특히, 공학적·위생학적으로 안전한 수돗물을 두고 정수기를 설치하거나 생수를 사다 마시는 것은 경제적으로 낭비일 뿐 올바른 수돗물 정책의 결과라고 말할 수 없다.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되는 정책은 두 가지다. 하나는 청정 상수원을 확보·관리하는 정책이다. 대표적인 것이 ‘상수도 보호구역 지정’과 ‘수변 지역 개발 제한’이다. 다른 하나는 수처리 공학을 바탕으로 건설된 정수장 시스템을 개선하고 완벽하게 관리하는 정책이다. 대표적인 것이 분리막을 통한 초고도처리시설 도입과 노후 상수도관 망 개선이다.

울산은 행정구역 안에 회야댐, 사연댐, 대암댐, 대곡댐 등 4개 수원지가 있다. 그러나, 정확한 시점은 불분명하지만, 2003년 울산시의 ‘반구대 암각화 보존방안 연구용역’ 이후 현재까지 10여 년 동안 사연댐 수위조절이 진행되는 바람에 수량도 부족하고 수질도 나빠지고 있다. 또 2021년 6월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 심의·의결에 따라 부산과 대구는 ‘막여과(膜濾過)를 통한 초고도처리시스템 도입’이 가능해졌지만, 울산은 여기서 제외되어 중장기적으로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는 대시민 서비스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2021년 환경부의 수돗물 실태조사에 따르면, 수돗물을 직·간접적으로 음용하는(마시는) 비율이 전국 평균은 24.5%, 서울은 22.8%, 부산은 21.6%, 울산은 23.4%로 나타났다. 울산의 음용률은 서울과 부산보다는 높지만, 전국 평균에 비하면 낮다. 따라서 필자는 울산 수돗물 음용률을 높이기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중장기적인 청정수원 확보가 필요하다. 청도 운문댐에만 매몰되지 말고 유연한 사고로 지역 내 다양한 취수원 확보를 위해 과학적인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그리고 단기적 정책사업으로 노후 상수도관개선사업과 관망세척사업, ICT 기술을 도입한 ‘스마트 상수관리 체계’ 구축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2014년 이후 경기도 파주시에서 환경부 시범사업으로 ‘스마트 워터 시티(Smart Water City, SWC) 사업’을 추진해 수돗물 직접 음용률을 높인 사례가 실제로 있다. ‘SWC 사업’이란 ‘취수원에서 수도꼭지까지 수돗물 공급 전 과정에 ICT를 접목, 수량·수질을 과학적으로 관리해서 소비자가 믿고 마실 수 있는 물 관리 체계를 구현한 도시’를 뜻한다.

수돗물에 대한 불신은 먹는 샘물과 정수기 이용과 같은 대체수단 전환과 그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동시에 막대한 비용을 들여 건설된 상수도 인프라의 효용성을 떨어뜨리기도 한다. 따라서, 추가적인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차원에서라도 울산 수돗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 방안은 시급히 검토되어야 할 사안이다.

이상현 낙동강수계 통합물관리 연구네트워크, 박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