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혁명’ 당시 기록물 문화재 등록 추진
‘4·19혁명’ 당시 기록물 문화재 등록 추진
  • 김보은
  • 승인 2020.04.09 21: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당시 고려대 학생 부상자 명단·구술조사서 등 7건 우선 대상 선정
4·19 혁명 참여 고려대 학생 부상자 명단.
4·19 혁명 참여 고려대 학생 부상자 명단.

 

4·19 혁명이 60주년을 맞이한 올해 그 당시 상황을 알려주는 기록물들이 문화재로 등록된다.

민주화 문화유산 가운데는 처음이다.

문화재청은 민주화를 이뤄낸 역사적 현장을 기억하고 시사점을 짚어보기 위해 ‘4·19 혁명 문화유산’을 집중 발굴해 국가등록문화재 등록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앞서 지자체와 유관기관 추천을 통해 4·19 혁명 관련 유물 179건을 발굴했고, 자문회의를 거쳐 7건을 등록 우선 추진 대상으로 정했다.

그 중 올 상반기에는 ‘4·19 혁명 참여 고려대 학생 부상자 명단’,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19 혁명 참여자 구술 조사서)’,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19 혁명 계엄포고문)’의 등록을 추진한다.

‘4·19 혁명 참여 고려대 학생 부상자 명단’은 4·19 혁명 전날인 1960년 4월 18일 고려대 학생 시위에서 다친 사람 이름을 정리했다. 초안 2종과 이를 보완해 완성한 정서본 1종으로 구성된다.

여러 사람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첫 번째 초안에는 부상 장소와 피해 정도가 상세히 기록됐다. 부상 장소는 안암동, 천일극장 앞, 국회의사당, 종로3가, 동대문경찰서 앞 등 다양하다. 학생 중에는 “천일백화점 근처에서 깡패의 몽둥이로 후두부를 맞고 失神(실신)”한 이도 있었다. 또 다른 초안은 한 사람이 쓴 것으로 판단됐다.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19 혁명 참여자 구술 조사서)’는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4학년 학생들이 주도해 결성한 ‘4월혁명연구반’이 남긴 구술 기록 자료다. 4·19 데모 목격자와 인근 주민 조사서, 교수 데모 실태조사서, 사후 수습사항 조사서, 연행자 조사서 등 9종으로 이뤄졌다. 작성 지역은 서울, 대구·부산·마산이며 조사자는 정치에 대한 관심과 심정 등을 물었다. 특히 데모 사항 조사서에는 시위 참여 동기와 시간·장소는 물론 해산 시까지 충돌 과정도 기술됐다. 서울뿐만 아니라 대구 2·28, 마산 3·15 시위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현존 유일 구술 자료로 알려졌다.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19 혁명 계엄포고문)’도 4월혁명연구반이 기관에 의뢰해 수집한 자료다. 4·19 혁명 이후 계엄사령관은 각종 시책과 명령을 발표했는데, 비상계엄포고문 12종을 비롯해 계엄 선포 1종, 훈시문 1종, 공고문 3종, 담화문 2종 등 19종이 포함됐다.

자료를 보면 4월 19일 오후 5시에 서울·부산·대구·광주·대전에 비상계엄이 선포됐고, 이어 집회 해산·등교 중지·통행 금지·언론과 출판 통제·유언비어 유포 금지 공고문이 발표됐다.

나머지 우선 등록 추진 대상은 ‘부산일보 허종 기자가 촬영한 김주열 열사 사진’, ‘자유당 부정선거 자료’, ‘이승만 사임서’, ‘마산 지역 학생 일기’, 동성고 이병태 학생 일기인 ‘내가 겪은 4·19 데모’다.

문화재청은 등록 추진 문화재에 대해 지자체가 등록을 신청하면 전문가 현장조사와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등록 여부를 확정한다.

김보은 기자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