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해외시장 판매 마비에 생산계획 週 단위로… 생산량도 축소 가능성
현대차, 해외시장 판매 마비에 생산계획 週 단위로… 생산량도 축소 가능성
  • 김지은
  • 승인 2020.04.05 18: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사태 장기화땐 협력업체 줄도산 불보듯”

미국과 유럽 등 세계 주요 자동차 시장에서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됨에 따라 현대자동차가 위기 대응에 적극 나서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은 이동제한 조치로 인해 판매가 마비됐다. 중국도 아직 회복되지 않은 상태다. 공장이 멈추고 판매점이 문을 닫은 데다 수요도 급감했기 때문. 지난달 자동차 판매는 미국이 -33%, 프랑스 -72%, 이탈리아 -85%, 스페인 -69%, 독일 -38% 등으로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계획을 주 단위로 짜기로 했다. 또 수출용 모델이나 비인기 차종은 생산량을 줄일 가능성이 크다.

지난달에는 그랜저, GV80 등 신차효과와 개별소비세 인하 등으로 국내 시장에서 양호한 실적을 거뒀지만 해외 판매실적은 고꾸라졌다. 지난달 현대차의 국내 판매는 1년 전보다 3.0% 증가한 7만2천180대를 기록했지만 해외 판매는 23만6천323대로 26.2% 감소했다.

해외 판매 실적 감소폭은 세계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 1월(17만9천44대)에 기록한 -26.7% 이후 11년 만에 최대치다.

당시엔 내수 -31.8%, 해외 -25.3%였는데, 이번엔 국내 시장에선 선방했고 해외에서 충격이 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앞서 현대차는 코로나19 사태로 경영 위기에 처한 자동차 협력업체 대표들이 근무시간 연장을 통한 생산성 만회를 요구하는 탄원서를 노사에 전달함에 따라 주52시간 초과 특별연장근로를 검토하기도 했었다.

당시 울산 북구지역 4개 산업단지(매곡일반산단·달천농공단지·중산일반산단·모듈화일반산단) 협의회 대표들은 지난달 20일 북구를 통해 ‘완성차 특별연장근로 시행을 위한 탄원서’를 현대차 노사에 보냈다.

탄원서는 코로나19 사태로 지난 2월4일부터 지난달 6일까지 중국 공장에서 생산하는 ‘와이어링 하니스’(전선뭉치) 공급이 끊겨 완성차 8만대 생산손실이 발생해 협력업체 역시 납품 손실이 발생해 가동률을 높여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협력업체 대표들은 현재 주 52시간 근무제로는 손실 만회가 불가능해 한시적으로 특별연장근로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하지만 최근 미국과 유럽 자동차 판매 마비로 이 마저도 페이스 조절에 들어간 상황이다.

노조는 지난달 30일 “북미, 유럽 등 전세계에 자동차 생산 및 판매 딜러망이 폐쇄되고 있고 업무 중단이 되기에 현재 상황에서 특별연장근로 결정이 쉽지가 않다”며 “만들어도 수출하기가 힘든 상황이라 페이스 조절을 해야 하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쌍용차는 이미 순환 휴업에 들어갔다. 공식 사유는 유럽산 부품 조달 차질이지만 판매 부진이 주요 요인으로 보인다. 쌍용차는 다른 업체들과 달리 신차가 없어서 지난달 국내 시장에서 완충효과를 보지 못했다.

수출 비중이 큰 한국GM도 미국시장 분위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국GM은 지난해 생산 40만9천830대 중 34만774대를 수출했다. 르노삼성차는 북미 수출용 닛산 로그 물량이 지난달로 끝났기 때문에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지진 않는다. 그러나 유럽 시장상황으로 인해 XM3 수출 물량 확보가 어려워질까 우려가 크다.

이미 국내 자동차 기업의 해외공장들이 인도, 미국, 유럽, 남미 등에서 연쇄적으로 폐쇄되고 있는 상황에서 업계는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중소협력업체들의 줄도산과 산업생태계 붕괴를 우려하고 있다.

특히 완성차·부품 업체의 경우 이달 중순 이후 글로벌 부품 조달 차질을 예상하면서 유동성 문제가 대두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해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공공기관 차 구매계획을 앞당기고 전기차 보조금 등 인센티브를 줘서 내수 수요를 늘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항구 위원도 “자동차 수요가 살아났을 때를 대비해서 감원하지 않고 중소협력업체들이 도산하지 않게 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세”라며 “특히 특수 소재 등을 다루는 업체는 무너지지 않게 주의깊게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품사들의 자금 사정이 이미 좋지 않기 때문에 신용기준을 완화해서 일단 돈이 돌도록 해줘야 한다”며 “중견·중소기업 모두 기간산업 지원 차원에서 봐야한다”고 덧붙였다.

김지은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