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에 얹혀사는 뉴질랜드 밀레니얼 세대 증가
부모에 얹혀사는 뉴질랜드 밀레니얼 세대 증가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20.02.17 20: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학·직업학교 재학 연유… 부모 73% “경제적으로 도울 용의 있어”
[뉴질랜드]=18세가 되면 부모 집을 떠나 독립하는 뉴질랜드인의 전통이 흔들리고 있다. 1980년부터 1996년까지 출생한 뉴질랜드 밀레니얼 세대가 성년이 됐어도 부모에게 얹혀사는 일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부메랑’ 세대 또는 ‘시작 실패’ 아이들이라고 불리며 부모 집에 거주하는 밀레니얼은 전세계적으로 전체 밀레니얼의 3분의 1로 추산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바우어 미디어 인사이트 아이큐(Bauer Media’s Insights IQ)가 밀레니얼 및 그 부모들 6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세대 게임’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21%는 현재 1명 이상의 밀레니얼 자녀와 같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는 분가한 밀레니얼 자녀가 언제라도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인 것으로 조사됐다.

밀레니얼 자녀가 계속 대학 또는 직업학교에 다니는 것이 동거하는 가장 많은 이유로 드러났다.

밀레니얼 자녀와 같이 사는 부모들의 3분의 2는 그 같은 상황에 대해 자녀에 대해 더 잘 알게 되고 안전상의 이유 등으로 긍정적으로 생각했다.

부모 집에서 사는 성인 자녀의 3분의 1은 주당 평균 128 달러의 렌트비를 내고 생활비의 35%를 식료품 등을 구매하는 형태로 살림에 기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정적인 요인으로는 개인생활 부족, 식품비 증가, 밀레니얼 자녀의 친구 또는 파트너도 데려와 사는 경우, 집안 일을 도와 주지 않는 경우, 또 밀레니얼 자녀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등의 의견이 나왔다.

부모의 73%는 밀레니얼 자녀를 경제적으로 도와줄 용의가 있다고 응답했고 19%는 이미 도움을 줬다고 말했다.

물론 모든 부모가 성인자녀를 위한 방과 생활비를 제공할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빅토리아대 케이트 프릭켓(Kate Prickett) 박사는 “국제적인 조사에 따르면 부유한 가족의 자녀는 가난한 가족에 비해 부모와 같이 사는 경우가 많았다”며 “부유한 가족 출신 자녀는 부모와 같이 사는 기간을 재정적인 발판이나 적어도 빚을 지지 않는 기간으로 이용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강화한다”고 말했다.

매시대 폴 스푼리(Paul Spoonley) 교수는 뉴질랜드에서 21세기형 ‘빈폴(beanpole)’ 가족이 빠르게 늘고 있다고 소개했다.

빈폴 가족은 많은 자녀가 없지만 세대간 연대감이 강하고 늙어서도 젊은 성인 자녀와 같이 산다.

스푼리 교수는 이러한 현상으로 밀레니얼 세대가 부모 품을 떠나 독립적인 성인으로 되는 변화기를 지연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스푼리 교수는 “베이비붐 세대는 10대 후반에 일이나 학업을 위해 부모 곁을 떠나서 결국 독립 가구를 구성하는 것이 전통이었다”며 “그러나 밀레니얼 세대는 대학 공부로 계속 부모 집에 기거하는 추세고 학생융자와 생활비 상승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후에도 부모에게 돌아와 사는 사례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독립적 아이와 독립적 성인 사이의 길어진 과도기 때문에 결혼, 출산, 내집 마련 등 일생의 중요한 단계가 30대로 늦어지고 있는 실정” 이라고 지적했다.

<코리아포스트>

호주, 中 여행자 입국금지 7일 연장

코로나19 확산 방지 일환

[호주]=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호주 정부가 중국 본토에서 들어오는 여행자들의 입국 제한을 한 주 더 연장키로 했다.

지난 13일 연방 국가안보위원회는 보건 당국의 브리핑 후 중국인 입국 금지 연장을 결정했다.

정부는 이달 1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을 막기 위한 조치로 중국에서 들어오는 이들의 입국 금지를 결정하면서 14일간 시행 후 추가 연장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첫 조치는 이번 토요일(15일) 만료될 예정이었다.

이날 중국 여행자 입국금지 연장을 발표한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는 “우리(호주 정부)는 매주 이를 재검토할 것이며, 여기에는 앞으로 나오는 모든 의학적 증거를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이번 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되고, 우한에서 호주로 입국한 이들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확진 사례가 나오자 호주 정부는 국내 감염으로 이어지는 발병 확대를 차단하고자 국경 통제를 결정했다.

이 조치에 앞서 외교통상부는 호주인들의 중국 여행 경고를 최고 수준인 ‘Level 4’로 발령한 바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중국 여행 자체를 금하는 수준이다.

또한 우한을 비롯해 중국 내 다른 지역에서 입국하는 이들에게는 최소 14일간(코로나 바이러스 잠복기간) 본인 스스로 격리돼 있어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모리슨 총리는 “정부는 이 결정(중국 여행자 입국 금지)을 가볍게 다루지 않았으며, 이 조치로 인한 혼란 및 경제적 영향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모리슨 총리는 “정부는 호주인의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코리안헤럴드>

인도네시아, 세계자연기금 협정 파기

“WWF, 작년 산불 관련 정부 노력 부족 비판 심해”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가 국제환경단체인 세계자연기금(WWF)과 20년 넘은 파트너 협정을 파기했다. 지난해 발생한 대형 산불과 관련해 WWF의 인도네시아 정부 비판이 심했다는 이유다.

최근 현지 매체에 따르면 환경산림부는 “지난주 WWF에 협정을 종결하는 서한을 보냈다”며 “이 단체는 지난해 산불과 관련해 정부의 노력을 부정하고 불신하는 한편 SNS의 비판을 부채질했다”고 밝혔다. 이어 “WWF는 기후변화, 폐기물 관리, 환경문제 관련 분야로 부적절하게 사업을 확장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과 보르네오섬에서 산불이 이어지면서 서울 면적(6만ha)의 14배가 넘는 85만7천여ha가 소실됐다. 이에 WWF는 산불 예방과 신속한 진압을 위한 인도네시아 정부의 노력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1998년 WWF와 야생동물과 산림 보호를 위한 파트너 협정을 체결했으며, 2023년까지 협정 기간이 연장된 상태였다. 이 협정에 따라 WWF는 멸종위기종인 수마트라 호랑이와 코뿔소 보호구역에 들어가 활동할 수 있었다.

협정 파기로 WWF의 활동 자체가 제한되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WWF 인도네시아 지부는 1962년부터 활동했고, 보존 프로젝트와 연구, 환경정책 자문 등을 위해 20여개 현장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WWF 인도네시아 관계자는 “수 십 년간 지속해온 협정을 파기한 일방 결정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이번 결정이 호랑이와 코뿔소 등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동물 보호 노력을 위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지난 6일(현지시간) 산불에 대한 영구적인 해결책 마련을 주문했다.

그는 이날 산불 관련 장관·기관장 회의에서 “산불의 99%가 인간에 의해 발생했다고 보고받았다. 경제적 동기에 의한 산불과 관련해 보다 영구적 해결책을 찾아라”고 지시했다.

앞서 이번 산불로 세계은행은 “인도네시아의 산불과 산불 연기로 발생한 직접 피해 금액은 1억5천700만 달러(1천876억원)고, 경제활동에 미친 손실금액은 50억 달러(5조9천735억원)로 추산된다”며 최소 52억 달러(6조2천억원) 상당 경제적 손실이 났다고 발표했다.

<코리안프레스>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