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연료정책, 진정 무엇이
울산의 연료정책, 진정 무엇이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09.03.12 2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민을 위하는 길인가?

울산은 높은 아황산가스 농도 때문에 1986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기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이에, 울산은 기업체에서 사용하는 연료를 소위 저황유나 LNG와 같은 고가의 청정연료를 사용하도록 제한하게 된다. 정책 추진의 배경에는 울산의 대기오염의 주범이 바로 이산화황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청정연료란 연료내 황함유량을 최대한 낮춘 초저황유 및 LNG를 말한다.

울산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사전규제를 통해 깨끗한 연료만 사용하도록 제한한 것이다.

다른 영향도 있었겠지만, 이러한 사전 연료규제를 통해 1990년 0.031ppm수준이었던 울산의 아황산 가스농도는 2006년 0.007ppm수준까지 떨어지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연료규제가 시작된 1980년대에는 사전 연료규제의 타당성이 충분하였다. 저가연료를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충분하지 않았고 기업들의 환경 마인드도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은 사정이 다르다. 환경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고 기업들의 환경에 대한 마인드도 과거와 비교해 상당히 개선되었다. 환경경영을 기업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으며 환경을 무시한 기업은 시장에서 살아 남을 수 없다는 것을 기업 스스로가 잘 알고 있다.

최근 울산의 연료정책에 대한 논란에서 한가지 간과하는 사실이 있다. 기업체가 단지 기업의 경쟁력을 위해 저가연료 사용허용을 요구하는 것처럼 얘기하지만, 기업에서는 환경과 경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라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객관적 사실과 정확한 데이터에 근거하고 있다.

초저황유 사용시 아황산가스는 150ppm 수준으로 배출되는데 반해, 고황유 연소 후 최적 방지시설을 통해 배출되는 아황산가스는 50~70ppm 수준이다. 이러한 배출농도는 멀리 해외의 사례가 아니다. 울산 내 고황유를 사용하는 몇 개 업체만 가보아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방지시설이 고장 났을 경우 다량의 오염물질이 그대로 배출된다고 우려하지만, 탈황기술은 50년 이상 기술개발로 성숙된 기술로서, 현재 운전중인 많은 탈황설비가 고장 없이 안정적으로 운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업체는 연료정책과 관련된 모든 검토를 수행함에 있어서 운전현황 조사, 발생수치 실측, 환경기술 조사, 현지 정책조사, 관계자인터뷰 등 과학적·실측적으로 입증한 결과를 토대로 정책 개선을 건의하고 있는 것이다. 울산시 저탄소 녹색성장형 新 연료정책은 철저하게 시민의 건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최신 방지시설 적용을 통해 울산시민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기오염물질을 저감시킬수 있는 방향으로의 정책인 것이다.

울산시는 얼마전 자동차, 조선, 화학산업과 함께 환경산업의 집중 육성 계획을 밝힌바 있는데, 저가연료를 사용할 경우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환경설비 투자유도를 통해 환경산업을 울산의 新성장동력으로 키울 기회로 만들 수도 있다.

기존 연료정책이 에코폴리스 울산과 생태도시 추진전략에 기여를 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 전략도 그에 맞게 바꿔야 한다. 울산의 청정연료정책이 시행된 20년 동안 환경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과거와 달리, 저가연료를 쓰더라도 청정연료에 비해 대기오염물질이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면, 그런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변화”에 발맞춰 정책도 유연하게 접목되어야 할 것이다.

에코폴리스 울산은 환경만 위하는 도시가 아니라 환경과 경제를 동시에 표방하는 도시이므로 新연료정책이야 말로 에코폴리스 울산에 부합하는 정책이다. 또한, 울산의 환경정책은 시민의 건강에 직결되는 만큼, 일반적인 정서나 막연한 이미지에 의해서가 아니라 객관적 사실과 정확한 데이터에 의해 누구도 아닌 울산시민을 위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 울산사랑기업사랑모임 총무 이종관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