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용 칼럼] 울산을 ‘컨벤션 산업의 중심도시’로 만들자
[김종용 칼럼] 울산을 ‘컨벤션 산업의 중심도시’로 만들자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9.11.27 2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필자는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 이전 정책으로 2015년 3월부터 울산시민으로 4년 9개월째 생활하고 있다. 울산으로 온 2015년에는 장녀가 대학생, 장남이 고등학생, 차남이 중학생이어서 지금까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주말부부 생활을 하고 있다. 또 맡은 업무상 세미나와 회의가 많지만 아직은 서울 등 수도권에서 주로 열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거의 매주 한차례, 한 해 50차례 정도 울산과 서울을 고속철도를 이용해서 왕복을 한다. 그러니까 울산역을 일년에 100번 정도 이용하게 되는 셈이다.

몇 년 전만 해도 울산역 주변은 황량하기 그지없었는데, 요즘은 여기저기 건축물이 많이 들어서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건물이 ‘울산전시컨벤션센터(이하 센터)’이다.

지난해(2018년) 2월에 기공식을 가진 센터는 내년(2020년) 12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대형 전시장, 컨벤션홀, 각종 회의시설과 업무시설, 그 밖의 편의시설이 있는 지하 1층, 지상 3층에 연면적 4만2천982㎡ 규모로 지어질 센터 건설에는 총 1천678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고 한다.

전국에서 문을 열고 있는 전시컨벤션센터는 모두 18곳이다. 서울의 COEX·SETEC·at Center, 부산의 벡스코(BEXCO), 대구의 EX CO, 인천의 SongdoCO, 대전의 DCC·KOTR EX, 광주의 KDJ, 세종의 SCC, 경기 고양의 킨텍스(KINTEX), 경기 수원의 SWC, 강원 평창의 알펜시아, 전북 군산의 GSCO, 경북 구미의 GUMICO, 경북 경주의 HICO, 경남 창원의 CECO, 제주의 ICC가 그런 곳이다.

그리고 개관을 앞두고 있는 전시컨벤션센터는 울산을 비롯해 경북 안동(2020년), 충남 천안(2022년), 강원 춘천(2023년), 충북 청주(2023년) 등 5곳이다. 다시 말해 2023년 이후에는 전국 16개 광역시·도가 최소 1개 이상의 전시컨벤션센터를 보유하게 되고, 그만큼 행사 유치 경쟁이 치열해진다는 얘기다.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경기 고양 KINTEX의 경우 2005년 개관 이후 11년 만인 2016년에 흑자로 전환했다. 울산의 이웃인 부산 BEXCO의 경우 2001년 개관 이후 2002년 월드컵 특수에 힘입어 개관한지 2년만인 2003년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밖에도 흑자로 운영 중인 곳은 서울 COEX와 대구 EXCO 등이 손꼽히고, 나머지 대부분은 적자를 면치 못하는 실정이다.

운영주체별로 보면 서울·창원·구미는 위탁운영이고, 다른 곳은 지방자치단체출자회사가 운영하고 있다. 다만 정부세종컨벤션센터는 직영이다. 울산전시컨벤션센터도 지자체출자회사가 운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적자가 나면 그 부담을 울산시민이 져야 한다.

울산 혁신도시에는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에너지 분야 4개 기관과 근로복지공단 등 근로 및 안전 분야 6개 기관을 합쳐 모두 10개 이전 기관이 자리를 잡고 있다. 이들 10개 이전기관은 크고 작은 행사를 매월 한차례 이상 개최하지만 대부분의 행사, 특히 규모가 큰 행사는 발표자와 청중들이 모이기 쉬운 서울이나 경기도 등 수도권에서 열리는 게 현실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만 해도 올해의 가장 큰 행사인 ‘개원 33주년 기념 세미나’를 서울 삼정호텔에서 개최했다. 그리고 국내 에너지 분야의 가장 큰 행사인 한국에너지공단 주최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도 올해는 경기 고양 KINTEX에서 열렸다.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에 매년 참가하는 필자는 울산에서 고속철도를 타고 서울역으로 갔다가 다시 전철로 갈아타고 고양의 전시장을 찾아간다.

울산전시컨벤션센터는 고속철도역에서 걸어서 갈 수 있는, 전국에서 유일한 곳이다. 이러한 장점을 충분히 활용한다면 적자 기간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전 인구의 절반이 사는 수도권에서 보면 울산은 먼 곳이어서 접근성 면에서 꺼려지는 게 사실이다.

이를 능히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 행사를 울산에서 개최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MOU를 울산시가 10개 공공기관과 일일이 맺는 방안이 그것이다. 이때 행사경비의 일부는 울산시가 지원하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울산시교육청의 협조를 얻어 초·중·고 학생들이 전시장을 체험학습을 목적으로 찾게 만드는, 적극적인 행정지원도 필요하다.

울산시와 울산시교육청, 울산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이 ‘삼위일체’가 된다면, 울산이 ‘서비스 산업의 꽃’ 혹은 ‘굴뚝 없는 황금산업’이라 불리는 ‘컨벤션 산업’의 중심도시로 발돋움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생각한다.

김종용 에너지경제연구원 지역에너지연구팀 연구위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