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커를 양산하는 사회
조커를 양산하는 사회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9.10.29 21: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신질환자의 가장 큰 문제점은 남들에게 아무것도 아닌 척 해야 한다는 것이다.’

영화 <조커>에서 주인공인 아서 플렉(호아킨 피닉스)은 일기장에 이렇게 적었다. 아서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데 그가 보는 세상은 “사람들이 미쳐가고 있다”라는 한 문장으로 시작되고, 압축된다. 자신이 미치광이란 사실을 모른 채 살아간다. 광대 분장으로 사람들을 즐겁게 하고, 항상 웃는 얼굴로 세상과 마주한다. 하지만 사회는 아서를 늘 천대하고, 소외시켰다. 아서는 정신치료를 위해 치료센터를 찾는다. 수년째 반복된 치료에도 아서의 담당 상담사는 기계적인 질문만을 내뱉는다. 아서는 갑자기 “어차피 내 말을 한 번도 이해해보려고 한 적도 없잖아”라고 소리친다.

지난 6월 울산에서도 영화 <조커>와 비슷한 일이 발생했다. 22살. 평범한 가정에서 자란 ‘울산 조커’는 가족들에게는 ‘아픈 손가락’이었다. 우울증, 불안성 인격장애 등의 정신질환을 앓고 있었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그랬던 건 아니다. 초등학교 때 반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했고, 교실이나 화장실에서 거의 매일 맞았다. 울산 조커는 “엄마와 선생님이 걱정할까봐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중학교에서의 생활도 변함은 없었다. 급기야 담임교사가 대안학교 진학을 권유했고, 그곳에서 만난 선배의 말에 겁을 먹고 학교를 자퇴했다. 사람과의 교류는 단절됐다. 인터넷 게임이 유일한 즐거움이었다. 울산 조커는 중학교 2학년 때부터 병원에서 정신질환 진단을 받고 약물처방 진단을 받았지만 이를 계속 거부했다.

아마도 영화 <조커>의 아서처럼 자신이 정신병자라는 사실을 몰랐던 것 같다. 울산 조커는 망상에 시달린다. 약을 먹으면 이상해질 것이고, 엄마가 나를 죽이려한다는 환상이 자신을 옥죄어왔다. 결국 불안감을 못이겨 낸 울산조커는 흉기를 들고 어머니를 무참히 살해한다.

영화 <조커>에서 아서도 자신을 ‘해피’라고 부르며 항상 웃던 어머니를 죽인다. 그러면서 “나는 내 인생이 비극인줄 알았는데 개 같은 코미디였어”라고 말한다. 이러한 비참한 결과를 가져오기 전에 방지할 수 없었을까. 사회는 조커를 양산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방치하고 있다.

정신질환자들을 가슴으로 보살펴주고, 편견과 공포심을 없애는 작은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들은 사회의 암적인 존재가 아닌 또 하나의 구성원이다. 다름을 이해하고 끌어안아야 할 때다.

조커로 변한 아서는 거울에 적힌 ‘put on a happy face’라는 문구를 보며 억지 미소를 짓는다. 이 시대의 조커들이 ‘put on’을 덜어내고 ‘아닌 척’, ‘행복한 척’을 안해도 되는 진정한 ‘happy face’를 볼 수 있는 변화된 사회를 꿈꿔본다.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