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매운동은 ‘조선총독부 제품’부터
불매운동은 ‘조선총독부 제품’부터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9.10.01 2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법원의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따른 한·일 갈등이 아직도 안 풀리고 있다.

그동안 일본상품 불매운동에는 초등학생들까지 참여했고 청와대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을 파기했다.

아베 정권은 지금도 우리나라를 과거 식민지 대하듯 얕잡아보는 것 같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그런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고 우리의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과거 조선총독부 제품인 식민사학의 복사판- 역사교과서의 배척운동부터 할 것을 제안한다.

역사적으로 한·일 양국 국민들의 마음속에는 쉽게 풀리지 않는 앙금이 있다.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나서는 우리 국민들의 마음은 ‘일본의 과거침략 사죄와 배상, 일본경제 의존 탈피’란 구호에서 잘 나타난다. 스포츠 경기에서 다른 나라에는 지더라도 일본에 져선 안 된다는 정서가 마음속에 깔려 있다. 왜구의 노략질과 임진왜란, 국토 강점과 수탈의 기억이 쉽게 지워지지 않기 때문이다.

‘백제는 지금도 살아있다’며 일본을 백제의 후예로 보는 주장을 감안하면 이해가 더 쉽지만, 일본인들 마음의 밑바닥에는 신라에 패한 1천350여 년 전 백제인의 분노가 서려 있을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우리 겨레 사이의 싸움에 당나라를 끌어들인 신라를 멸시하는 마음이 생겼고, 임진왜란과 식민통치를 통해 그런 인식이 더 증폭된 데다, 조선총독부가 우리 겨레를 말살하기 위해 만든 식민사학의 내용이 지금 우리 교과서에 버젓이 실려 있으니 우리를 우습게 보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 서로를 비난하고 책임을 전가하는 대립은 양국 모두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 우리 스스로 일본의 영향에서 벗어나는 성숙함을 보여야 더 이상 얕잡아보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일본’이 아닌 ‘일제(日帝)’의 제품인 식민사학을 추종하는 우리 역사교과서 불매운동부터 전개하자는 것이다.

우리 역사교과서에 그런 내용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첫째, ‘단군신화론’이다. 일제가 만든 ‘단군신화’란 말이 지금도 교과서에 살아있다. 둘째, ‘반도사관’이다. 1913년 일본인 쓰다 소키치가 전혀 근거 없이 만든 엉터리 ‘고려 서북경’이 지금 교과서에 그대로 실려 있고, 그 후로 만주지역을 포함하는 우리나라 지도는 없다.

셋째, 친일세력 미화다. 독립협회, 개화당 등 우리나라를 일본에 넘기는 것을 도운 사람들을 선각자로 미화하고 있다. 넷째, 민족 비하 용어다. 대일민족투쟁의 격을 낮추는 ‘삼일운동’, ‘독립운동’과 우리가 미개했음을 전제로 하는 ‘개화’라는 용어가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다섯째, 조선왕조 때까지 절대다수의 기록이 ‘삼국사’인 우리 고대사 책을 일본인들이 이름 붙인 대로 『삼국사기』라고 한다. 여섯째, 『삼국사』 초기기록 불신론이다. 교과서에서 신라는 서기전 57년, 고구리는 서기전 37년, 백제는 서기전 18년에 건국되었다면서도 고대국가가 성립된 것은 3세기~4세기라고 기술하고 있다.

이런 내용부터 바로잡고 이미 국제법적으로 무효인데도 시정이 안 되고 있는 1905년 을사늑약, 1909년 간도협약, 1910년 한일협약을 상기시키면서, 국제정치 및 국제법적 흐름에도 어긋나는 ‘1965년 협정’의 재협상을 요구하는 등 논리적으로 그들을 능가하는 성숙함을 우리 스스로 보일 때 일본이 우리를 얕잡아 볼 수 없을 것이다.

일본상품 불매운동이나 지소미아 파기조치보다 먼저 친일파와 신친일파들의 입김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조선총독부 제품의 복사판’ 식민사학 역사교과서를 배척하는 운동이 더 긴요하다고 생각한다. 학생들이 총궐기한다면 성공가능성은 훨씬 높아질 것이다.

박정학 역사학박사·사단법인 한배달 이사장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