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무인 공유 전기자전거 시범운영 시작
울산, 무인 공유 전기자전거 시범운영 시작
  • 김원경
  • 승인 2019.09.04 22: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카오T바이크 직접 타 보니
카카오 T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전거에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면 카카오 T 바이크를 이용할 수 있다. 최지원 수습기자
카카오 T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전거에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면 카카오 T 바이크를 이용할 수 있다. 최지원 수습기자
울산의 첫 무인 공유 전기자전거 `카카오T바이크`가 4일부터 운영에 들어간 가운데 본보 기자(왼쪽)가 울산시청 앞에서 카카오T바이크를 타고 있다. 최지원 수습기자
울산의 첫 무인 공유 전기자전거 `카카오T바이크`가 4일부터 운영에 들어간 가운데 본보 기자(왼쪽)가 울산시청 앞에서 카카오T바이크를 타고 있다. 최지원 수습기자

 

-단거리 빠르게 이동하고 오르막길도 가뿐히 올라

-무인 공유 전기자전거 시범운영 시작… 시청 등 3곳 설치

-결제·반납 편리, 서비스 지역 내 어디든 주차 반납 가능

-분실 위험에 노출·헬멧 착용 의무 ‘이용자가 휴대해야’

4일 오전 이른 시각, 울산시청 정문 앞은 길게 늘어선 노란 자전거들로 진풍경이 펼쳐졌다. 이날은 울산의 첫 무인 공유 전기자전거 ‘카카오T바이크’의 시범운영이 시작된 날이었다.

전기자전거 자체가 생소했기에 처음 타보는 만큼 다소 설Ž 오전 9시 40분께 스마트폰을 통해 카카오T앱을 다운받은 뒤 요금 결제를 위한 카카오페이에도 가입을 했다. 카드를 등록하자 보증금 1만원이 결제됐다. 보증금은 이용자가 원할 때 환급을 받을 수 있다.

앱 지도를 확인하자 시청과 울산대공원, 울산대학교에 자전거가 있었다.

자전거 위치는 위성항법장치(GPS)를 통해 추적이 가능했다. 앱에서는 자전거 대수와 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었고 시청 정문 앞에는 충전 100%, 약 3시간 20분 동안 탈 수 있는 자전거 10대가 있음을 알리는 정보가 떴다.

하지만 정작 시청 앞에서 탑승자를 기다리고 있는 자전거는 20대였다. 앱 상황과 실제 상황이 일치하지 않았던 것. 이에 대해 시청 관계자는 “시행 초기라 시스템오류가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결제과정은 간단했다. 앱을 통해 자전거에 부착된 QR코드만 읽어내면 끝. 공유자전거는 7단 기어에 안장을 5단으로 조절할 수 있었고, 페달과 전기모터의 동시 동력으로 움직이는 PAS방식으로 자전거도로에서도 달릴 수 있다.

단 헬멧 착용이 의무사항이다. 하지만 별도의 헬멧이 제공되지 않아 시민들은 손수 헬멧을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하지만 법적 처벌조항은 없어 향후 이용자의 안전이 우려되는 부분이었다.

실제로 시청 앞 자전거도로를 달리기 위해 첫 페달을 밟자 금방 속도가 붙어 깜짝 놀랐다.안전운행을 위해선 헬멧을 꼭 착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대목이었다.

공유자전거의 최고속도는 시속 23㎞. 계속 타다보니 적응이 됐고 일반자전거 페달 열 번 밟을 것을 한번만 밟으면 되니 편했다. 기어 1~2단계로 오르막길도 가뿐히 올랐다.

평소 걸음으로 시청에서 신정시장까지 10분 거리를 공유자전거를 타니 4분 만에 도착했다. 단거리를 빠르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활용도가 좋아보였던 것. 그 때문에 학생들의 등·하교나 직장인들의 출퇴근에 용이해 보인다.

반납도 쉬웠다. 목적지 도착 후 뒷바퀴의 잠금장치의 레버를 아래로 당기면 운행은 종료된다. ‘삑’하는 소리와 함께 카카오T앱을 통해 명세서를 받아볼 수 있다.

이날 총 1.96km 22분 이용에 2천130원의 요금이 결제됐다. 시내버스 기본요금이 1천300원, 택시기본요금이 3천300원임을 감안하면 택시 기본요금 정도를 지불할 거리를 이동할 때는 타볼 만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공유자전거의 요금은 최초 15분 이용 시 1천130원(기본요금 1천원, 보험료 130원), 이후 5분마다 500원이 추가된다. 최초 이용 1회시 기본요금은 무료다.

무엇보다 공유자전거의 큰 장점은 반납이었다.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면 서비스지역 내 어디든지 주차가 가능하다. 울산의 서비스 지역은 중·남구를 중심으로 북구(송정택지개발지구)와 울주군(굴화) 일부 지역. 단, 서비스 외 지역에서 반납 시 추가 수수료가 2만원이 부가되는 만큼 숙지가 필요해 보였다.

하지만 편리한 반납시스템이 또 최대 약점이 될 듯 한데 어디든 반납 가능하니 분실위험에 노출돼 관리가 쉽지 않아 보였다.

첫날 150대, 오는 9일까지 400대로 확대한다고 하는데 관리 인원은 8명. 이들은 지역 곳곳에 주차된 공유자전거를 찾아 배터리 충전과 수리 등을 해야 해 관리가 쉽지 않아 보였다.

실제 지난 3월부터 전기공유자전거 600대를 운영하고 있는 경기 성남시는 최근 들어 이용률이 매달 20%씩 증가하고 있지만 운영초기에는 관리에 어려움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성남시 관계자는 “초기엔 개인 사유화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도 발견되고, 심지어 고물상에서도 발견이 돼 각 고물상마다 안내장을 붙이는 해프닝이 벌어졌다”면서 “7개월이 지난 현재는 유원지, 도심에 10대에서 30대 학생·직장인들 중심으로 정착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공유경제개념이 처음엔 낯설겠지만 올바른 시민의식만 따라준다면 유용한 공유재산이 될 수 있다. 자유로운 대여반납, 이용규칙만 잘 지키면 아주 편리한 이동수단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원경 기자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