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거세미나방 박멸, 조기예찰·방제가 최선
열대거세미나방 박멸, 조기예찰·방제가 최선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9.07.31 20: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름농사를 주로 하는 우리에게는 비래해충(飛來害蟲)이 비교적 많다. 대표적인 것이 벼멸구, 혹명나방, 멸강나방 등이다. 이들은 열대성기후지대인 중국 남쪽 지역에서 저기압을 타고 여름과 초가을에 걸쳐 한반도로 날아와 알을 낳고 그 어린 벌레가 벼나 옥수수에 해(害)를 입히는 공통점이 있다.

최근 신종 해충인 열대거세미나방이 발생해 주로 옥수수 밭을 초토화시키고 있다. 그 현황을 보면, 국내 최초로 제주 구좌읍과 조천읍 옥수수 포장에서 발생한 데 이어 전북 고창군, 전남 무안군·여수시·해남군·보성군과 울산에서 가까운 경남 밀양 옥수수 포장에서도 발생이 이어지고 있다.

열대거세미나방은 2016년 아프리카 43개국에서 창궐한 데 이어 2018년 동남아시아 8개국, 2019년 중국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에 침투한 열대거세미나방이 바람을 타고 중국에서 날아든 것으로 추정한다. 현재 울산시농업기술센터에서는 농촌진흥청과 손잡고 옥수수 밭을 중심으로 이 나방을 신속하게 발견하고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순회예찰에 나서고 있고, 발견된 포장에는 등록약제를 즉시 살포해 적기방제를 돕고 있다.

열대거세미나방의 원산지는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이다. 2016년도에는 아프리카 43개국에서, 2018년에는 인도·스리랑카·방글라데시·태국·미얀마 등 동남아시아 8개국에서, 2019년에는 중국과 대만, 일본에서도 발생해 급속하게 번지고 있다. 특히 중국은 우리나라 비래(飛來)해충의 발원지로 추정되는 광동·복건·절강성 등 중국 남부지역에서 주로 발생해 우리를 긴장시키고 있다.

광식성 해충 열대거세미나방이 좋아하는 기주식물(寄主植物, host plant)은 80여 종이나 된다. 그중 옥수수, 수수, 벼 등 볏과작물을 좋아하고 배춧과, 박과, 가짓과 식물을 해치기도 한다. 암컷은 밤에 옥수수 잎 아래 윗면 또는 줄기에 100~300개의 알을 덩어리로 낳는다. 암컷 성충 한 마리가 알을 최대 1천 개까지 낳고, 바람을 타고 하룻밤에 100km 이상 이동한다.

열대거세미나방의 일생은 알(3~5일)→애벌레(14~21일)→번데기(9~13일)→성충(12~14일)의 과정을 거친다. 다행인 것은 겨울철 기온이 10℃ 이하로 내려가는 곳 즉 서리가 내리는 지역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한 점이다.

밤에 주로 활동하는 이 나방의 애벌레는 어린잎과 줄기를 갉아먹고 옥수수 열매에 파고 들어가 피해를 주기도 한다. 비래(飛來) 초기에는 개체 수가 적어 피해가 적지만, 생애주기(Life cycle)가 약 44일이나 되기 때문에 국내 번식으로 개체 수가 증가한 7월경부터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예찰과 방제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장거리 이동을 하는 열대거세미나방이 다량 발생하면 작물에 큰 손실을 가져온다. 태국에서는 이 나방 때문에 연간 옥수수 생산량이 25~45%나 줄었다. 아프리카와 스리랑카에서는 20%와 10%, 중국에서는 5~10%의 옥수수 생산량 감소율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해 정착 가능성은 낮지만, 중국에서는 해마다 날아들어 반복적 피해가 예상된다.

방제용 약제로는 옥수수 등 26개 작물에 적용되는 53개 농약이 등록되어 있다. 방제에 필요한 자세한 등록약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사로(www.nongsaro.go.kr)-농약정보-농약등록현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애벌레와 성충은 모두 야행성이므로 방제 작업은 해 뜨기 전이나 해 진 뒤에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벌레의 발육단계가 낮을수록 방제효과가 높다. 특히 2~3령 애벌레부터는 주로 옥수수 어린잎 부위 안쪽 깊숙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약제가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적용약제를 충분히 살포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옥수수 밭 등에 이상한 벌레가 보이면 신종 해충 열대거세미나방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는 농업기술센터로 즉시 연락해서 신속한 진단을 받아 피해를 줄이도록 하자.

윤주용 울산시농업기술센터 소장, 농학박사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