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원전해체산업’ 안전·신뢰 바탕 선도도시 구현
울산 ‘원전해체산업’ 안전·신뢰 바탕 선도도시 구현
  • 이상길
  • 승인 2019.06.17 2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 에너지 신산업 점검회의서 산업 육성전략 밑그림 내놔안전 확보·인력양성·자원 재순환 등 10개 세부과제 추진
‘원전해체산업 육성 및 수소연료전지발전 토론회’가 17일 울산시의회 의사당 시민홀에서 열렸다. 송철호 울산시장, 세계원전수명관리학회 황일순 회장, 한국원전해체기술협회 신승호 협회장, 산업부, 원전해체 관련 산·학·연 등 관계자 들이 열띤 토론을 하고 있다. 	장태준 기자
‘원전해체산업 육성 및 수소연료전지발전 토론회’가 17일 울산시의회 의사당 시민홀에서 열렸다. 송철호 울산시장, 세계원전수명관리학회 황일순 회장, 한국원전해체기술협회 신승호 협회장, 산업부, 원전해체 관련 산·학·연 등 관계자 들이 열띤 토론을 하고 있다. 장태준 기자

 

울산의 미래성장 동력으로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의 장기 밑그림이 모습을 드러냈다.

울산시는 17일 에너지 신산업 분기 점검회의를 갖고 최근 원전해체연구소 공동유치로 탄력을 받고 있는 원전해체산업 육성 장기 밑그림을 제시했다.

시에 따르면 원전해체산업은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세계 최고의 원전해체산업 선도도시 구현을 비전으로 3단계로 추진된다.

먼저 오는 2022년까지를 ‘원전해체 준비기’로 잡고 시는 원전해체산업의 기반을 구축하고 기술자립도 향상(국산화 95% 달성)에 매진키로 했다.

이어 2023년부터 2030년까지는 ‘시장 성장기’로 해체실적 확보와 기술 고도화를 추진키로 했다.

마지막 ‘글로벌 도약기’는 2013년부터 2040년까지로 해외 해체시장 진출을 통해 점유율 10%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안전하게, 깨끗하게, 경제적으로’를 모토로 국내 공급망 육성을 통해 우리 기술로 해체를 추진해나갈 것”이라며 “특히 수출 산업화 전략으로 성장동력 확보 및 미래 먹거리를 창출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이날 세부추진 과제도 제시했다.

10개로 이뤄진 세부추진 과제는 △원전해체산업 혁신클러스트 조성 △원전해체 전문기업 육성 및 기업지원사업 지속 추진 △원전해체 전문인력 양성 △원전 제염ㆍ해체 융ㆍ복합 기술 개발 △원전해체 폐기물 처리 및 환경 복원 △원전해체 시설 안전성 확보 △원전해체 소재부품 성능평가 및 신뢰성 인증 강화 △원전해체 글로벌 진출 △방사성 이용 및 자원 재순환을 통한 부가가치 증대 △원전해체 국ㆍ내외 협력 강화 사업 추진이다.

시는 원전해체산업 집적화를 위해 원전해체연구소 주변지역을 원전해체산업 특구 및 에너지 산업융복합단지로 지정하고 클러스터를 조성키로 했다. 관련해 시는 원전해체연구소 건립 과정에서 구성될 ‘설립준비단’에 능동적으로 참여해 협력키로 했다.

또 원전해체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KINGS)에 원전해체 전문학과 및 석사과정을 개설해 연구개발을 위한 전문 고급인력 양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원전해체산업 육성 및 수소연료전지발전 토론회’이 17일 울산시의회 의사당 시민홀에서?열렸다. 송철호 울산시장, 세계원전수명관리학회 황일순 회장, 한국원전해체기술협회 신승호 협회장, 산업부, 원전해체 관련 산·학·연 등 관계자 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장태준 기자
‘원전해체산업 육성 및 수소연료전지발전 토론회’이 17일 울산시의회 의사당 시민홀에서?열렸다. 송철호 울산시장, 세계원전수명관리학회 황일순 회장, 한국원전해체기술협회 신승호 협회장, 산업부, 원전해체 관련 산·학·연 등 관계자 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장태준 기자

 

아울러 원전해체기술의 핵심인 제염ㆍ해체 융복합 기술 개발을 위해 울산 소재 화학산업기업 및 중공업ㆍ조선 기업과 연계해 제염 및 해체ㆍ절단기술을 개발키로 했다.

시는 지역 산업단지의 축적된 폐기물 처리ㆍ환경복원 경험을 적극 활용해 원전해체 폐기물 처리 및 환경복원 기술도 개발해 나가기로 했다.

원전해체의 글로벌 수출을 위해서는 국내 기업이 글로벌 표준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해외 유수 연구소와 연계해 정부가 공인하는 글로벌 기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구체적으로는 1단계로 소수의 기업을 선별해 국내 여건에 맞게 변경시킨 F4N(Fit For Nuclear:영국 Nuclear AMRC가 운영하는 원전관련 기업 지원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2단계로 국내에 최적화된 자체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해 정부 승인을 받는다는 계획이다. 3단계에서는 자체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공인된 기업과 함께 국내 공급망을 구축해 자체 비즈니스 창출에 나설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의 건의안을 수렴한 뒤 원전해체산업 육성 최종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울산시는 지난 4월 부산과 공동으로 원전해체연구소 유치에 성공했다. 센터가 들어설 부지는 울산 울주군 서생면과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 걸친 신고리 7·8호기(미정) 예정부지와 접한 태양열 발전 설비 인근 지역이다.

같은 달 울산시와 부산시는 산업부 및 한수원(주), 경북도와 함께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까지 체결하면서 본궤도에 올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1960∼1980년대 건설한 원전의 사용기한이 임박함에 따라 해체해야 하는 원전이 전세계적으로 2020년대 183기, 2030년대 이후 216기에 달하는 등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원전 가동을 연장하는 등 변수를 고려하더라도 원전해체가 2050년 이후까지 계속되면 총 440조원(2014년 기준가) 규모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상길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