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제조업 연계 신성장동력 육성, 인구 유입 촉진·이탈 방지를”
“울산, 제조업 연계 신성장동력 육성, 인구 유입 촉진·이탈 방지를”
  • 김지은 기자
  • 승인 2019.06.09 15: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은 울산본부, 지역 고용동향·주요 특징 조사연구 보고서   

울산이 제조업 부진 여파로 노동공급기반을 비롯한 전반적인 고용 악화가 이어지는 가운데 제조업과 연계한 신성장동력을 육성하는 등 고용 여건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래 성장 전략 산업과 부가가치가 높은 강소 중소기업을 육성하고, 지역 내 사회안전망 및 문화·교육적 기반을 확충하는 등 핵심 노동 연령층의 시장 이탈을 방지하고 인구 유입을 촉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선업 구조조정 여파, 인구 순유출로 생산가능인구 감소

6일 한국은행 울산본부가 발표한 ‘울산지역 고용동향 및 주요특징’ 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울산지역 생산가능인구(15세 이상 인구)는 2016년 7월 정점(97만7천명)에 도달한 이후 인구유출 등의 영향으로 감소해 올해 4월에는 96만8천명을 기록했다.

경제활동인구(생산가능인구 중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거나 구직 활동 중인 사람)도 2017년 6월 61만2천명에서 올해 4월 60만명으로 1만2천명(1.96%) 줄었다.
이에 따라 경제활동 참가율(생산가능인구에서 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올해 4월 기준 62.0%로, 전국 평균(63.6%)보다 낮았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최근 들어 상승세가 정체(2013년 60.3%, 2015년 60.8%, 217년 61.9%, 지난해 61.8%) 됐다.

이는 조선업 구조조정 등 제조업 부진 여파로 인구 순유출이 발생했으며 자연적인 인구 증가세도 둔화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출생자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자연증가는 2012년 7천593명, 2015년 6천817명에서 지난해 2천800명으로 감소했다.

◇ 취업자 줄고 실업률 확대 ‘고용 악화’… 성장잠재력 저하 우려 커 

고용 지표도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1월 지역 취업자 수는 지난해 1월보다 2만8천100명이 감소, 2009년 7월(1만6천600명 감소)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고용률(생산가능인구에서 취업자 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5년 59%대에서 최근 58%대로 하락했다.

실업률은 2013년(2.1%) 이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상승폭이 확대(올해 4월 5.2%)됐다. 울산지역 고용 특징으로는 △40대 이하 취업자 수가 감소·50대 이상 취업자 수가 증가 △여성의 고용시장 진입 확대 △제조업을 중심으로 고용 안정성이 약화하는 등 고용의 질 저하 등이 꼽혔다.

한국은행은 울산지역은 최근 제조업 부진 여파로 노동공급기반을 비롯한 전반적인 고용 여건의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고령인구가 늘어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청장년층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출되면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했으며 실업률 상승, 고용률 하락 등 고용상황이 좋지 않은 가운데 청장년층·제조업·남성 고용 부진을 고령층·서비스업·여성 부문에서 소폭 만회하고 있다. 

특히 고용안정성 및 임금보상 측면에서 질적으로 좋은 일자리가 많은 제조업 근로자 비중이 줄어들고, 제조업 여건도 나빠지면서 울산 지역의 전반적인 고용의 질이 저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소득기반 약화에 따른 민간소비 둔화, 투자 위축, 주택거래 감소 등으로 이어져 지역사회의 경제적 기반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더해 인구고령화, 인구유출 등 노동공급시장의 구조적 변화로 울산지역 성장잠재력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기존 주력 제조업과 연계한 신성장동력 육성, 미래 성장 전략 산업 발굴 등을 통해 악화된 고용 상황을 적극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존 주력 제조업과 연계한 신성장동력을 육성하고, 미래 성장 전략 산업, 부가가치가 높은 강소 중소기업 육성 및 대학과 연구기관 보유 선진 기술을 활용한 기술창업을 지원하는 등 신산업을 발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협 조사역은 “자동차·조선·석유화학과 연계한 수소산업 육성, 미래형 자동차 시스템 개발 등으로 신규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며 “중소기업 성장 및 청장년층 창업 촉진에 따른 고용 확대를 통해 청장년층의 인구 순유출을 완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서비스업의 고용여건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점을 감안, 전문성과 생산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을 육성해야 한다. 또 울산지역은 여성 고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됐으나 여전히 전국에 비해 미진한 수준으로, 여성경제활동 참가 확대를 통해 노동공급 부족 현상을 완화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지역 내 사회안전망 및 문화적·교육적 기반 확충, 정주 여건 개선 등으로 핵심 노동 연령층의 시장 이탈을 방지하고 인구 유입을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은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