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부경 노후산단 고도화,청년창업 연계 서둘러야 ”
“울부경 노후산단 고도화,청년창업 연계 서둘러야 ”
  • 김지은
  • 승인 2019.06.04 20: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BNK금융경영硏 ‘동남권 산업단지 현황·발전 방안’ 보고서
지역 제조업 핵심기지 성장 위해 다양한 대응방안 모색
“우수 근로여건·정주환경 갖춘 혁신생태계로 거듭나야”

울산과 부산·경남 동남권 산업단지가 노후화로 생산성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고도화 사업을 서둘러야 하며, 산업단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청년 창업과의 연계에도 힘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가 4일 발표한 ‘동남권 산업단지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산업단지 1천207개(지난해 기준) 중 동남권은 270개가 지정돼 충청권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단지 유형별로 보면 국가산업단지가 11개, 일반산업단지는 169개, 농공산업단지는 86개, 도시첨단산업단지는 4개로 조사됐다.

산업단지 내 업체 수는 부산이 가장 많았으며 고용 규모는 경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 및 수출 부문에 있어서는 울산이 동남권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경남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207개의 산업단지가 입지하고 있으며 시·군·구 중에서는 김해시(31개), 함안군(26개), 창원시(18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산은 35개의 산업단지가 입지해 있으며 동·서 외곽지역인 강서구(16개), 기장군(13개)에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다. 울산의 경우 울주군(17개), 북구(9개), 남구(2개)에 28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보고서는 최근 산업단지의 트렌드 변화를 크게 3가지로 분류했다.

먼저 대규모 입지 공급에서 소규모 산업단지로 개발규모가 작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전국의 신규지정된 산업단지 중 소규모(20만㎡) 산업단지 비중은 2004~2008년 평균 15.8%에 불과했으나 최근 5개년(2014~2018년)에는 평균 43.7%로 크게 높아졌다. 동남권도 2014~2018년 중 소규모 산업단지 비중이 43.1%로 나타났다.

또 산단 형태가 단순집적형에서 연결형 스마트 공간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이다. 개별공장의 데이터와 자원의 연결·공유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창업과 신산업 시험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스마트산단이 늘고 있다.

입지 측면에서도 첨단산업 인재확보를 위해 기존 외곽에 주로 위치하던 산단이 도심으로 옮겨오고 있다.

이처럼 산업단지는 규모, 기능, 입지 등 여러 측면에서 변화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동남권 산업단지가 지역 제조업의 핵심기지로서 지속적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변화흐름을 반영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연구소는 강조했다.

무엇보다 노후 산업단지 생산성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고도화 사업의 속도를 더욱 높여나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동남권은 국가 산업단지 중심으로 노후화 산업단지 비중이 높아 도로·환경정화시설이 낙후되고 문화·편의시설이 부족한 문제를 겪고 있다. 이는 입주기업의 생산성 하락 및 우수 기업 유치의 어려움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실제로 동남권 노후산단의 생산성은 뚜렷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업체당 매출액은 2016년 107억5천만원에서 지난해에는 88억9천만원까지 줄었다. 특히 신설산단과의 업체당 매출액 격차가 2016년 36억7천만원에서 지난해에는 5억5천만원으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자료를 미공개한 일부 신설산단(가동업체수가 2개 이하는 업체 정보보호 위해 미공개) 실적까지 포함하면 경영성과 차이는 더욱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산업단지 전반에 확산되도록 청년 창업과의 연계에도 힘써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산업단지 정책의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중앙정부의 관리권한을 지방정부로 이전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 정성국 연구위원은 “동남권 산업단지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젊은 층이 모여드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생산기능 중심에서 벗어나 우수한 근로여건 및 정주환경을 갖춘 혁신생태계로 거듭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