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새 먹거리, 원전해체·수소산업
울산의 새 먹거리, 원전해체·수소산업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9.04.18 20: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미래 울산 지역경제를 견인할만한 소식이 잇따르고 있다. 경제 성장에 청신호가 켜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울산으로 날아든 희소식은 원전해체연구소 의 유치와 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이 희망적이라는 것이다.

원전해체연구센터는 울산시가 오랫 동안 추진해 왔던 사업으로 15일 울산과 부산의 공동유치로 결정됐다.

정부는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위치를 결정한 이후 원전 해체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육성한다는 전략을 내놓았다. 정부는 동남권 지역산단 중심으로 관련 기업 집적화, 경영자금 및 세제 등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전문인력도 2022년까지 약 1천500명을 양성키로 했다. 또 2020년대 중반부터 해외 시장에 진출한다는 구상도 내놨다.

원전해체연구소는 원전해체산업의 구심점이다. 국내 원전해체산업의 컨트롤 타워 기능을 수행하고, 집적화된 연구기반과 실용화 기반 제공은 물론 연구개발 인재를 육성하고 산업체에 필요한 기술지원 등 해체기술 자립 환경을 조성한다. 또 연구역량과 산업역량이 결합되는 세계적인 원전해체 클러스터의 허브가 돼 국내 원전 해체산업 육성과 향후 원전해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원전해체 시장은 전 세계 588기 원전 중 영구정지 원전은 150기이고 이중 19기만 해체가 완료됐다. 2020년대에는 183기, 2030년대에는 216기로 해체원전이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원전 1기의 해체비용이 7천500~8천억원 정도가 된다고 하니 국내만 해도 10조원 정도의 시장이 곧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또 전 세계적인으로는 2050년까지 440조원 규모의 세계 원전 해체시장이 형성될 예정이어서 ‘황금을 낳는 거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원전해체기술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58개의 핵심기술이 있는데 우리나라는 현재 38개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원전해체연구소 완공 예정인 2023년까지 나머지 기술까지 모두 확보해 세계 원전 해체시장에 본격적으로 도전장을 내민다는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수소산업 선도도시 울산을 위한 발걸음도 한층 빨라지고 있다. 수소산업의 핵심인 수소전기차 확대와 관련해 걸림돌이었던 수소충전소가 이달 안으로 5기로 늘어나고 올해는 수소전기차 1천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지난 6년간 전국 보급 물량인 910대보다 많은 규모다.

아울러 지난 17일에는 울산이 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될 것이라는 낭보도 날아들었다. 비수도권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규제자유특구 지정과 관련해 울산시는 수소산업을 비롯해 게놈산업, 3D프린팅, 초소형 전기자동차 4개 분야의 사업을 신청했다. 사실 수소산업은 신청 단계에서부터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될 지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국내 주요 도시들이 너도나도 수소산업 선도도시를 표방하는 가운데 수소산업 분야의 특구 지정은 곧 정부의 복심을 보여주는 지표가 되기 때문이다. 다행히 울산시는 수소산업이 특구 지정과 관련해 1차 협의대상 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수소선도도시로서의 입지를 굳혔다는 평가다. 비수도권 14개 지자체 중 수소산업이 1차 협의대상으로 선정된 건 울산이 유일하다.

지금껏 산업수도 울산의 부흥은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이 이끌어왔다. 하지만 이들 3대 주력산업도 최근 위기를 겪으면서 지금 울산경제는 적잖게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실 3대 주력산업의 위기는 일찌감치 예견됐었다. 이들 산업들이 호황을 누릴 때도 대비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고, 실제로 시 차원에서 울산을 먹여 살릴 새 먹거리를 찾으려는 노력들이 꾸준히 진행돼 왔다. 이번 원전·수소 산업에서 날아든 낭보는 울산으로서는 큰 기회가 아닐 수 없다. 이 기회를 제대로 살려 울산의 주력산업이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원전해체, 수소 5개로 확대될 날을 기대해본다.

<박선열 편집국장>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