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부산 원전해체연구소 공동유치, 동남권 상생발전 모델 가속화
울산-부산 원전해체연구소 공동유치, 동남권 상생발전 모델 가속화
  • 이상길
  • 승인 2019.04.15 22: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해연 설립 운영 업무협약 체결
출입구 위치도 절반씩 나눠 해결
15일 체결된 원전해체연구소(이하 원해연) 공동유치 업무협약은 울산과 부산의 원해연 공동유치에 따른 지역 경제 발전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것 외에도 두 도시 간에 상생발전 모델을 구축하게 됐다는 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당초 동남권 원해연의 유치를 놓고 울산과 부산, 경북도는 서로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울산만 해도 서울대학교에 용역을 의뢰해 원해연의 울산유치 당위성을 확보한 뒤 정부를 상대로 적극 어필해왔다.

그로 인해 세 광역시도 간의 치열한 신경전은 지난해 7월 한 차례 표면화되기도 했었다.

세 도시 간의 유치 경쟁이 한창 치열했던 경상북도와 경주시는 원전 사업과 관련해 2019년 국비 확보 과정에서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를 슬쩍 끼워 넣어 요청한 것. 울산과 부산의 반발을 우려한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무산됐지만 세 도시 간의 신경전이 얼마나 치열했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였다.

원해연 본원의 울산·부산 공동유치가 어느 정도 윤곽을 드러낸 후에는 정문 출입구 위치를 놓고도 두 도시 간에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었다.

용역 결과 두 도시의 경계지점에 본원이 들어서는 것이 최적의 방안임이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지면서 공동유치는 사실상 기정사실화가 됐었다.

하지만 울산과 부산은 정문 출입구의 위치를 두고 경쟁을 벌여야 했다.

정문 출입구가 어느 쪽으로 나느냐에 따라 원전 철거, 오염 제거 등 관련 업체들의 입지가 달라지기 때문. 하지만 최근 산자부의 중재 하에 울산과 부산이 출입문까지 공동으로 반반씩 나눠 갖는 것으로 결정됐다.

결국 원해연 본원을 울산과 부산이 공동으로 유치하고, 중수로 원자로가 집적된 경주에는 중수로원해연이라는 분원을 유치키로 하면서 세 도시 간의 치열한 유치경쟁은 후유증 없이 마무리될 수 있었다는 평가다.

아울러 그로 인해 세 도시 간 협업을 통한 상생발전도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원해연 울산·부산 공동유치로 향후 울산과 부산이 협력적으로 할 수 있는 사업들이 더욱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경주 역시 분원을 유치해 울산과 포항, 경주시 간에 진행 중인 해오름 동맹에도 큰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천400억이 투입되는 원해연은 3만3천㎡의 부지에 실험실과 분석실, 해체 기술 실증과 인증 시설, 방폐물 시험 시설, 모의 훈련 시설 등을 갖출 계획이다. 연간 운영 예산은 500억원 가량이다.

이상길 기자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