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 더 따져봐야 할 해상풍력발전소
한 번 더 따져봐야 할 해상풍력발전소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9.04.04 2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7년 11월 온 국민을 깜짝 놀라게 하고 포항시민을 공포에 떨게 했던 규모 5.4의 포항 지진이 지열발전소 때문이라는 어처구니없는 결론에 온 국민은 한 번 더 놀랐다.

대형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따라오는 수식어에 ‘예견된 인재’라는 말이 있다. 여객선 침몰, 건물 붕괴, 가스 폭발, 대형 화재, 공사장 사고 등 모든 현장에서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은 안전불감증에 ‘설마’ 하는 무사안일의 자세가 더해져 막을 수 있는 재난을 막지 못하고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냈다는 말이다. 하다하다 이제는 지진까지 인재라니 국민들은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하는 대형 사업을 ‘안전하게 잘하겠지’ 하고 믿고 지켜보기가 어렵게 되었다.

갈수록 많아지는 전기수요, 환경오염과 안정성을 고려할 때 화석연료 발전은 줄이고 새로운 에너지원을 찾을 수밖에 없다. 지열발전소도 그래서 세우려 했을 것이다. 지열발전은 4∼5km 지하에 물을 넣고 땅의 열로 물을 데운 뒤 이때 발생한 증기를 끌어올리고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는 화석연료 발전과는 달리 온실가스, 오염물질이 거의 배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투자비용이 많이 들고, 지하에 물을 넣고 빼내는 과정에 지반이 약해지면서 지진이 일어날 수 있어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열 가지 장점이 있어도 한 가지 단점이 있다면 그 한 가지 단점에 대한 세밀한 연구와 관찰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를 무시한 결과 798억 원을 투자하고도 포항시민들에게 엄청난 피해만 주고 발전설비는 쓸모없는 골칫덩어리가 되고 말았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업적을 보이려고 새로운 사업을 시행하고, 정권이 바뀌면 이를 백지화시키고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면서 세금을 낭비한다. 만약 그 과정에 안정성 검토를 소홀히 한다면 포항지진과 같은 참사는 피할 수가 없다.

지방정부에서도 지자체 장이 바뀌면 뭔가를 보여주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곤 한다. 울산시도 송철호 시장이 당선되면서 오는 2022년까지 1조5천억 원을 들여 울산 먼 바다 동해가스전 인근에 50기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단지를 조성하고 그 아래 바다목장을 일군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우리나라도 산등성이에 풍력발전기가 설치돼 있는 것을 볼 수 있지만, 해상풍력발전단지도 실효성이 있는지 어떤지 꼼꼼히 따져봐야 할 것이다.

육지도 아닌 해상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려면 엄청난 비용이 들 것인데 과연 흑자가 될 것인지, 항해선박의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는지, 바다생태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사업을 착수하기 전에 다시 한 번 더 점검해 보기 바란다.

2018년 해양수산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경대수 의원(자유한국당)과 김현권 의원(더불어민주당)은 “해상풍력발전소 건립은 어업인들에게 극심한 악영향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해상풍력 발전은 신재생에너지 측면에서 추진되는 사업이지만 바다자원 황폐화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어업인 피해를 없애는 방향에서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도 했다. 청사진만 가지고 엄청난 비용을 투자했다가 포항 지열발전소처럼 문제가 생기거나 전기생산량이 예상에 미치지 못해 발전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도 생각해서 철거와 비용 문제도 따져보고 시작해야 할 것이다.

물론 전문가들이 세심하게 따져보겠지만 포항 지열발전소도 전문가들이 연구·검토한 사업이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2017년 12월부터 4천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6.2MW 규모의 상업생산에 들어갈 예정이었지만 2017년 11월에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이 지열발전소에 의한 것이라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가동이 중단되었고 결국 지열발전소가 원인이었다는 결론이 나왔다.

울산 앞바다에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세워지면 청정에너지를 생산해서 시민에게 공급한다는 청사진은 아름답다. 하지만 자칫 잘못하면 안전을 위협하고 해양생태계를 파괴하는 흉물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유병곤 새울산교회 목사, 시인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