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도새재생전략 계획변경안 공청회… 기본구상 모습 드러내
울산시 도새재생전략 계획변경안 공청회… 기본구상 모습 드러내
  • 이상길
  • 승인 2019.03.26 23: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시쇠퇴진단, 중구 '복산1동, 학성동' 1등급 '재생 시급'
정체성 높은 도시공간 재생 등 5개 권역별 구상 제시
울산 내에서 도시재생이 가장 시급한 곳으로 중구 복산1동과 학성동이 꼽혔다. 관련해 5개 구·군을 중심으로 나눠진 권역별 도시재생 기본구상 등 울산형 도시재생의 추진 방향도 모습을 드러냈다.

울산시는 26일 시의사당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2025년 울산시 도시재생전략계획변경 수립(안) 공청회’를 통해 이를 제시했다.

시가 이날 제시한 2025년 도시재생전략계획변경 수립안에서 눈길을 끄는 건 ‘도시진단’ 부분이었다. 지수표준화를 통해 지역 전체 동을 대상으로 도시쇠퇴를 진단한 결과 중구 복산 1동과 학성동이 쇠퇴 1등급을 보였다. 쇠퇴 1등급은 각 부문에서 타 도시에 비해 쇠퇴양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도시들로서 시급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단계를 의미한다.

좀 더 양호한 쇠퇴 2등급은 남목 2동과 우정동, 남목 1동, 대송동, 다운동, 남목 3동, 반구 2동, 두동면, 두서면, 중앙동, 복산 2동, 병영 1동, 반구 1동, 삼동면, 화정동 등 총 15개 동이 차지했다.

비교적 양호한 지역으로 분류되는 쇠퇴 3등급은 염포동 등 24개 동, 쇠퇴 4등급은 선암동 등 11개 동이 분류됐다. 비교적 도시가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는 가장 양호한 쇠퇴 5등급의 경우 삼산동, 강동동, 양정동, 효문동 4개 동이 차지했다.

이를 토대로 5개 구군별로 종합적으로 진단한 결과 쇠퇴진단에서 ‘인구사회’ 측면에서는 동구의 쇠퇴도가 가장 심각하고 중구 원도심이 그 뒤를 이었다.

‘산업경제’ 측면에서는 중구와 동구 중심으로 쇠퇴를 보였고, ‘물리환경’ 측면에서는 중·동구 지역과 울주군 지역을 중심으로 쇠퇴가 진행 중이었다. 남구와 북구의 경우 쇠퇴진단에서는 비교적 양호했다.

시는 이날 향후 추진할 도시재생 전략계획의 기본 구상도 제시했다.

시는 ‘시민의 자발적 참여로 지속성 높은 울산형 도시재생 실현’을 비전으로 △지역자원을 활용한 정체성 높은 도시공간 재생 △산업단지 주변지역 환경개선을 통한 쾌적한 주거공간 재생 △창의적 경제활동이 가능한 활력 넘치는 지역경제 재생 △창조적 도시재생 실현을 위한 활발한 시민 참여를 목표로 총 5개의 권역별 도시재생 기본구상을 제시했다.

먼저 중구 중심의 중부재생권역의 경우 ‘원도심으로서의 상징성을 제고하고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재생’을 목표로 △생활편익증진을 위한 주거환경개선 △역사자원과 문화복합을 통한 원도심 자생력 강화 △울산 상징 지역의 지역경제 환경 개선 △산업지역 배후주거지의 생활편익시설 개선을 집중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동구 중심의 동부재생권역은 ‘산업자원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산업 배후 도시 특성을 살린 주거환경 개선 △단일산업구조를 극복할 지역산업 다양화 △지역자원활용과 주민참여로 독창적인 지역 상권 조성 △관광과 연계한 지역형 일자리 창출을 추진키로 했다.

북구 중심의 북부재생권역은 ‘신도시와의 조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노사민의 협력으로 산업단지 주변 주거환경 개선 △신도시 인구 유입을 통한 지역 상권 활성화 △노동통합도시의 특성을 활용한 독창적인 지역 재생 △관광과 연계한 지역형 일자리 창출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울주군 중심의 서남부재생권역은 ‘지역 자원을 활용한 체험형 재생시스템 구축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목표로 △역사자원과 산악관광 활용으로 지역상권 활성화 △문화체험환경 조성과 연계한 정주여건 개선 △역세권 개선과 연계한 근린상권 활성화 등을 추진키로 했다.

마지막으로 지역 강과 해안가 중심의 수변재생축권역은 ‘지역자원의 재창조를 통한 Water-Front’ 울산 실현을 목표로 △수변 경관 개선을 통한 친수도시 울산 정착 △해양자원의 관광활성화로 해양도시 울산 이미지 제고 △태화강 테마 활용으로 태화강 이미지 제고 △역세권-항만정비를 통한 경제활성화 거점 조성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계획안은 향후 시의회 의견청취, 관계행정기관 협의와 도시재생위원회 심의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상길 기자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