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해체硏, 울산·부산 공동유치 ‘유력’
원전해체硏, 울산·부산 공동유치 ‘유력’
  • 이상길
  • 승인 2019.02.12 23: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입지선정 중간보고 용역 결과 신고리 7·8호기 부지 ‘최우수’산업부 “아직 결정된 바 없어”… 市 “산업기반 우수 집적화 가능”

 

국내 첫 원전해체연구소의 입지로 부산과 울산 접경지대인 신고리 7ㆍ8호기 예정부지가 유력해지고 있다. 사실상 부산과 울산의 공동유치로 함께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던 경상북도는 크게 반발하고 있다.

12일 울산시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원전해체연구소(이하 원해연) 입지 선정을 위해 진행 중인 용역과 관련해 최근 실시된 중간보고회에서 울산 울주군 서생면과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 걸쳐 있는 신고리 7ㆍ8호기 예정부지가 가장 우수한 위치로 뽑힌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시 한 고위관계자는 “울산 주변에는 현재 고리원전 4기와 신고리원전 6기가 있다. 이 가운데 신고리원전 6기 중 4기에 대해선 운영 허가가 났고, 5ㆍ6호기는 건설 중이며, 고리 1호기는 영구정지 명령이 떨어졌다”면서 “산업부 용역 중간보고회 결과 영구 정지된 고리 1호와 가장 근접한 신고리 7ㆍ8호기 예정부지가 입지가 가장 우수한 곳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해당 부지는 울산 울주군 서생면과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 함께 걸쳐 있는 부지로 각종 주변 인프라가 우수하다”며 “무엇보다 원전 관련 연구를 하고 있는 UNIST를 비롯해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KINGS), 부산대학교, 기장군에 위치한 동남권원자력의학원까지 있어 집적화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울산 중구 혁신도시에는 에너지 전담 기관도 있고, 경주 인근에는 관련 산업들도 몰려 있다 보니 용역 결과가 우수하게 나올 수밖에 없었던 것 같다”며 “결국 울산과 부산 공동유치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만약 원해연 설립지가 울산과 부산 접경지역인 신고리 7ㆍ8호기 예정부지로 최종 확정될 경우에는 연구소 정문위치를 놓고 울산과 부산 간에 경쟁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문 출입구가 어느 쪽으로 나느냐에 따라 원전 철거, 오염 제거 등 관련 업체들의 입지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울산시 관계자는 “정문은 울주군으로 결정될 것”이라며 “현재로선 출구를 낼 수 있는 도로가 울주군 권역의 왕복 2차로 하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부산시 관계자는 “출입구 부분은 확정된 것이 아니라 막바지 협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산업통상자원부는 신고리 7ㆍ8호기 예정부지가 원해연 입지로 유력해지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산업부는 12일 정책브리핑을 통해 “원전해체연구소 설립과 관련해 현재 입지, 규모, 방식 등 다양하게 검토 중이며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고 분명히 했다.

원해연의 울산과 부산 공동유치 유력설에 대해 경주를 예정부지로 함께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던 경상북도는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경북도청 관계자는 이날 본보와의 전화통화에서 “산자부도 정해진 바 없다고 분명히 했다. 만약 원해연 입지가 울산ㆍ부산 접경지역인 신고리 7ㆍ8호기 예정부지로 확정될 경우 가만 있지 않을 것”이라고 엄포했다.

특히 “경주에는 방폐장이 있어 결국 모든 원전 폐기물은 경주로 오게 돼 있다. 경주 인근 월성원전 1호기도 지난해부터 연료봉을 떼고 있기 때문에 해체 시기 면에서 거의 비슷하다”며 “월성원전의 경우 중수로로 폐기물 양도 많고, 경주는 영광ㆍ울진ㆍ울산 중간에 위치해 전국 원전 폐기물들이 한 곳에 모이기 최적지다. 방폐장도 있어 접안시설까지 갖추고 있다”며 경주 유치를 주장했다.

한편 2천400억원이 투입되는 원해연은 3만3천㎡ 부지에 실험·분석실, 해체 기술 실증과 인증 시설, 방폐물 시험 시설, 모의 훈련 시설 등을 갖출 계획이다. 연간 운영 예산은 500억원 가량이다. 다음달 입지 선정을 발표한 후, 오는 5월께 예비타당성 심사를 거칠 예정이다. 이르면 2020년 착공해 2022년께 완공된다.

세계 원전 해체 산업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매우 큰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960~1980년대 지어진 원전의 사용 가능 기한이 임박하면서 2020년대 이후 해체 대상 원전이 급증한다는 것이다.

정부 보고서 등에 따르면 전 세계의 해체 대상 원전은 2015~2019년 76기에서 2030년대 127기 등으로 늘어난다.

울산시 관계자는 “전 세계 원전 해체 비용이 440조원에 이를 것이란 조사도 있다”며 “해체 작업에 의한 직접적 경제 효과 외에 폐기물 처리, 기계, 로봇, 건설 등 전후방 산업과 기술 발전을 가져온다는 점도 큰 매력”이라고 말했다. 이상길 기자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