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울산방문]2040년까지 수소차 620만대… 가격도 3천만원대로
[문재인 대통령 울산방문]2040년까지 수소차 620만대… 가격도 3천만원대로
  • 김규신
  • 승인 2019.01.17 23:18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새해 첫 전국경제투어로 17일 울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소경제와 미래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수소경제 전략보고회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새해 첫 전국경제투어로 17일 울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소경제와 미래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수소경제 전략보고회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정부, 수소경제 활성화 구체적 로드맵 제시

충전소도 1천200곳으로 확대·자립화 지원

부가가치 43조·일자리 42만개 창출 등 기대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울산을 찾아 발표한 수소경제 선도도시 조성계획은 문 대통령의 새해 첫 지역 경제 투어라는 점이 더욱 의미를 더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말 전북 군산, 11월 경북 포항, 12월 창원을 찾았고, 올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첫 일정으로 울산을 찾았다. 문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수소경제 관련 울산이 지닌 뛰어난 인프라를 토대로 “울산을 수소경제 선도도시로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기 위한 내용으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8월 ‘혁신성장 전략투자 방향’에서 ‘수소경제’를 3대전략 투자 분야로 선정한 후 9월 관계부처 및 민간전문가가 참여한 ‘수소경제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3개월여 간 의견 수렴과 연구·분석 등을 통해 로드맵을 준비했다.

로드맵에는 ‘수소경제’를 혁신성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면서 친환경 에너지의 원동력으로 인식하고 2040년까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큰 정책 방향성과 목표 및 추진전략 등을 담았다.

로드맵에 따르면 수소승용차 국내 보급의 경우 올해 신규만 4천대 이상을 보급하는 모멘텀을 만들어 2025년까지 연 10만대의 상업적 양산체계를 구축해 수소차 가격을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낮춘다. 양산 10만대 수준이면 현재의 절반 가격인 약 3천만원 대로 수소자동차를 공급할 수 있다.

3년 후인 2022년까지 수소승용차를 8만1천대 만들고 막전극접합체 등 핵심부품의 국산화율 100%도 달성해 시장성을 확보하면 2030년 약 85만대 정도의 내수기반을 거쳐 최종 목표년도인 2040년 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 등 620만대 생산이 어렵지 않다는 계산이다.

수소차 보급 확산 핵심 인프라인 수소충전소의 경우 지난해 14개였던 충전소를 2022년 310개, 2040년에는 1천20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경제성 확보 때까지 설치보조금을 지원하고 운영보조금 신설도 검토해 충전소의 자립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민간주도 충전소 확대를 위해 특수목적법인(SPC) 참여 확대와 함께 기존 액화석유가스(LPG)·압축천연가스(CNG) 충전소를 수소충전이 가능한 융복합 충전소로 전환한다.

17일 울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소경제와 미래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수소경제 전략보고회에서 송철호 울산시장, 하언태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윤병석 SK가스 사장, 오스만 알 감디 S-OIL CEO, 정형락 두산 사장, 현철 효성중공업 사장, 이치윤 덕양 회장 등 14개 기관 대표들이 울산 수소경제 연관사업 고용?투자 확대 협약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17일 울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소경제와 미래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수소경제 전략보고회에서 송철호 울산시장, 하언태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윤병석 SK가스 사장, 오스만 알 감디 S-OIL CEO, 정형락 두산 사장, 현철 효성중공업 사장, 이치윤 덕양 회장 등 14개 기관 대표들이 울산 수소경제 연관사업 고용?투자 확대 협약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이를 위해 입지제한·이격 거리 규제를 완화하고, 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해 도심지, 공공청사 등 주요 거점에 충전소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을 2040년까지 내수와 수출(7GW)을 포함해 15GW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한국 발전용량 113GW의 7∼8%에 이르는 양이다.

수소 생산을 위해서는 석유화학 공정에서 부산물로 생기는 부생수소 5만t(수소차 25만대 분량)을 수소경제 사회 준비물량으로 활용한다. 또 천연가스 공급망 및 수요처 인근에 추출수소 생산기지 구축 등 관련 인프라도 확충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CO2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전해와 해외생산 수소를 활용해 ‘그린수소 산유국’으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수전해, 해외생산·수입 등 그린수소 확대와 연계해 수소 생산량을 지난해 13만t에서 2040년 526만t으로 확대하고, 대량 안정적 공급으로 수소 가격이 3천원/kg 이하로 하락하도록 유도해나가기로 했다.

수소 저장과 운송 분야에서는 고압기체, 액체, 액상, 고체 등 저장방식을 다양화·효율화해 안정적이고 경제성 있는 수소유통체계를 확립한다. 고압기체수소 튜브트레일러 경량화를 통해 운송비를 절감하고, 장기적으로 전국을 연결하는 수소 주배관도 건설할 예정이다.

수소경제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도시가스’ 수준 이상으로 국민들이 신뢰하도록 수소 생산, 저장·운송, 활용 전주기에 걸쳐 확실한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한다. 또 수소 안전관리 전담 법령 제정, 충전소 부품, 시스템 등에 대한 안전기준을 국제기준에 맞게 제·개정하고, 안전성 평가 센터도 운영한다.

이 외에 관련 부처가 공동으로 수소경제 이행을 위한 상세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안전관리 및 핵심기술개발 전문인력도 양성한다.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차질없이 이행할 경우 2040년에는 연간 43조원의 부가가치와 42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성윤모 장관은 “수소는 경제 성장과 친환경 에너지의 원천”이라며 “우리나라는 수소차·연료전지 등 선두급 기술력을 이미 확보한데다 부생수소 등 수소 생산과 산업기반 경험을 보유하고 있고 완비된 LNG 망 등을 활용해 원활한 수소 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수소경제가 혁신성장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규신 기자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