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과 양심
4차 산업혁명과 양심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8.11.25 20: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심이라는 단어는 ‘어떤 행위에 대하여 옳고 그름, 선과 악을 구별하는 도덕적 의식이나 마음’이라고 정의한다.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것 중 하나는 ‘어린 아이는 어른보다 양심적’이란 사실이다. 물론 학습이나 경험이 모자라 그 반대일 때도 있지만, 고의성이 없다면 용서와 이해를 할 수가 있다. 최근에는 ‘아이보다 더 양심적인 것이 있을까?’라는 물음표를 던지면서 곧잘 떠올리는 것이 그 답은 컴퓨터와 기계들일 것이라는 생각이다.

이러한 생각이 드는 경우는, 빅 데이터 분석으로 생각지 못한 결론을 얻었을 때이다. 최근 ‘구급차의 최적배치 분석’을 위해 구조·구급환자 발생 데이터, 위치 데이터, 119센터 위치 데이터, 도로 교통정보 데이터, 유동인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빅 데이터 분석을 한 적이 있다. 그렇게 얻은 정보를 정책실무자들과 공유한 결과 민원이 자주 발생하면서도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장소와 일치한다는 답변을 얻을 수 있었다. 요구가 있기 전 사실관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해서 얻은 결과였고, 빅 데이터의 놀라움을 새삼 경험할 수 있었다.

만약 데이터와 기계에 비양심적인 감성이 들어간다면 과연 그 결과를 신뢰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에 젖다보니 ‘누구보다 양심적이구나’ 하고 혼자 재미있는 상상도 하게 되었다. 엉뚱해 보일지도 모르지만,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것은, 데이터 기반 정보는 가공하지 않는 한 속일 수도, 거짓 표현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일부 인간들의 크고 비양심적인 목소리는 잘난체하는 자들에 의해 왜곡된 결과나 방향으로 흘러갈 때가 더러 있다. 이는 객관적 정보나 진실보다는 남의 의견을 부정하고 자신을 지나치게 내세우는 사람들 때문으로, 주변에 많은 피해를 끼치기도 한다.

우리가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가야할 것은 ‘국가가 존재하는 이유는 국민이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이다. 국민 모두가 공평하고 행복할 자격은 법으로도 보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제도나 규정을 보면 과연 우리 국민을 위한 법인지, 특정인을 위한 법인지 의문이 갈 때가 있다. 바로 비양심적인 일부 인사들의 의견과 감정이 개입한 때문이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이렇게 부정적으로 개입하고 비합리적인 결론을 내세우기 전에 가장 양심적인 빅 데이터와 기계에 한번 의존해 보는 것은 어떨까? 국민을 위한 정책이나 제도도 빅 데이터와 기계의 의존도를 높인다면 훨씬 더 양심적인 정책과 제도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필요한 것은 객관적인 빅 데이터 분석과 의사결정을 하기 전의 정직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가 정책이든 기업이든, 4차 산업혁명에 맞추어 발 빠르게 성장할 수 없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양심이 있는 데이터의 부재이기 때문이다. 국민을 위한 데이터의 공개는 책임소재와 직결된다는 비양심이 발전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고, 기업에서는 기밀정보의 누설이라는 비양심이 발전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다.

양심에서 우러나는 결정은 당장은 손해를 보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진정성을 나타내기 마련이다. 정책, 기업의 데이터도 동일할 것이다. 양심적인 데이터는 당장은 손해가 되거나 눈치가 보일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인정받는 사회구조나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한다고 믿는다. 양심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서비스를 발굴해야 국민, 기업들이 신뢰하고 믿는 사회가 될 것이다.

공개되는 데이터가 본인의 업무와 연관성이 있다고 숨기려고만 하는 실무자, 문제가 발생할 때 책임소재를 밝혀 책임만 물으려고 하는 관리자, 이 두 조합이 잘 맞아떨어지다 보니 지금까지 양심적인 데이터가 부족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제라도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양심적인 데이터를 공개하고,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할 때라고 생각한다.

박재영 울산발전연구원 산업경제팀 공학박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