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증후군 몰아낼 ‘따뜻한 말 한마디’
명절증후군 몰아낼 ‘따뜻한 말 한마디’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8.09.20 22: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이 드신 어른은 물론이고 중장년층까지도 한목소리를 내는 말이 있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는 식의 해묵은 말이 아니다. “예전 같지 않다”는 우려 섞인 말들이다.

특히 ‘고용절벽’에 부딪힌 젊은 세대들은 “추석 같은 게 왜 필요하냐”며 절규에 가까운 말까지 뱉어낸다.

사실 그들에게 추석연휴는 짜증나는 스트레스이자 극심한 두려움일 수 있다. 자존심 상하는 말을 가족·친지로부터 듣는 것이 죽기보다 싫기 때문일 것이다. 그 비슷한 두려움은 ‘고용절벽 시대’ 이전부터도 있었다. 특히 명절연휴 시기의 부엌일(가사노동)이나 이해심 부족한 시댁 가족들의 잔소리에 시달려야 하는 기혼여성들로서는 명절이 엄청난 인고의 시기이기도 했다. 어디 기혼여성뿐이겠는가?

그래서 태어난 말이 ‘명절증후군’이었고, 그 말이 진화를 거듭한 끝에 새로 가지 친 말이 ‘병적 공포증 또는 혐오증’을 의미하는 ‘명절 포비아(phobia)’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처방전은 앞을 다투며 인터넷 판을 달구기도 한다.

‘다음백과’에서 선보인 ‘즐거운 명절을 위한 7가지 건강수칙’은 상당수 누리꾼들에게 금과옥조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가사노동을 남녀가 분담하고 휴식을 같이 취할 것 △허례허식 없는 명절준비로 경제적 부담을 줄일 것 △일할 때는 주위 사람과 흥미 있는 얘기를 나누며 심리적 부담을 풀 것 △남편은 고생하는 아내에게 따뜻한 격려의 말을 건네고… 등이다.

이 수칙들에는 공통분모가 있다.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배려지심이다. 이번 추석연휴에는 상대방을 먼저 배려하는 ‘따뜻한 말 한마디’의 위력을 온 국민들이 깨닫게 되기를 기원한다. 그래야만 ‘명절증후군’, ‘명절 포비아’가 씻은 듯 달아날 것이기 때문이다.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